상반기 해상화물 물동량 최초 6억t 넘어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올해 상반기 해상화물 물동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항공화물 물동량은 같은 기간 감소세를 나타냈다.한국무역협회(회장 사공일)는 17일 '2011년 상반기 수출입 운송 물동량 및 운임 동향 조사' 보고서를 발표하고 올 상반기 해상화물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한 6억3700만t으로 처음으로 6억t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해상화물 물동량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원인으로 상반기에 선진국과 신흥국으로의 수출이 동시에 늘어난 가운데 주로 해상 운송에 의존하는 석유와 섬유 제품의 수출이 증가한 것을 꼽았다. 하지만 항공화물은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지역으로의 수출물동량이 소폭 감소하는 동시에 항공화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IT제품의 소형화 추세로 전년 동기대비 4.8% 감소했다.상반기 아시아 주요항로의 해상운임은 전년 동기대비 TEU 기준 중국(35.3%), 일본(21.7%), 싱가폴(16.1%) 등 대부분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북미와 유럽의 경우 수출 증가에 따른 물동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초대형선 투입 및 선복 증가로 LA, 뉴욕, 앤트워프를 비롯한 주요항로의 해상운임의 하락세가 뚜렷해 아시아 항로와 대조를 보였다.지난 4월까지 약보합세를 유지하던 항공화물 운임은 5월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보였고 상반기 항공운임 지수는 IT관련 제품군의 물동량 감소와 소형화 추세로 전년 동기대비 15.8% 급감했다.한편 하반기에 해상화물은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하고 수출과 수입이 각각 15.8%, 22.1% 증가해 전년 동기대비 13.0% 늘어난 6억8700만t이 처리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한-EU FTA 발효 수혜 지역인 유럽을 제외한 대부분 항로의 운임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항공화물의 경우 일본의 생산복구 및 유럽 경제 회복, 국산 스마트폰의 본격적인 수출 개시로 물동량 반등이 예상되지만 전반적인 글로벌 IT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한 한-EU FTA 발효로 인한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보여 전년 동기대비 2%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이병무 한국무역협회 화주사무국장은 "상반기 해상 물동량과 항공 물동량이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며 "이에 따른 운송수단별, 항로별 운임 동향에도 변화가 지속되는 만큼 무역업체들이 관련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이창환 기자 goldfish@ⓒ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