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돼지고기·수박 등 9개 식품價 집중점검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정부가 쌀과 돼지고기, 계란, 콩, 고등어, 오징어, 참외, 수박, 딸기 등 9개 식품을 특별 가격점검 품목으로 삼았다. 이번 주부터 수급 동향을 주 단위로 살펴 가격에 문제가 있는지 꼼꼼히 들여다보기로 했다. '리뉴얼' '프리미엄' 형태로 편법 가격 인상을 노리는 가공식품 업체가 있는지도 점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은 13일 오후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물가안정 대책회의를 통해 "쌀, 돼지고기, 계란, 콩, 고등어, 오징어, 참외, 수박, 딸기 등 9개 품목에 대한 집중적인 가격 안정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밝혔다. 임 차관은 특히 "쌀 가격이 중요하다"며 "오는 19일 정부비축물량의 추가 공매를 실시하는 등 쌀 값이 안정될 때까지 정부 보유분을 계속 시장에 풀겠다"고 했다. 그는 이달 물가 상황을 낙관하면서도 불안 요인이 남아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임 차관은 "농축수산물의 가격 안정과 국제 유가 및 원자재 가격 하향 압력 등 일부 긍정적인 여건이 조성되고 있지만, 기대 인플레이션 심리에다 원가 부담이 더해져 외식비 등 개인서비스 요금과 가공식품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따라서 "정책 대응을 더욱 강화하겠다"며 "최근 리뉴얼 등으로 가격 인상을 추진하고 있는 가공식품은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편법 가격 인상 여부도 점검하겠다"고 했다. 임 차관은 아울러 "소비자 단체를 통해 고급 제품과 기존제품의 상품 정보를 비교해 제공하겠다"며 "서민 생활과 밀접한 품목의 진입규제 개선 방안도 8월 중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다음달 중 보건 의료·문화 관광·방송 통신 등 3개 분야에 대한 3단계 진입규제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또 지식경제부를 중심으로 업태별·단계별 유통 구조 등을 살펴 8월 중 종합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임 차관은 이와 함께 "이달 말까지 행정안전부가 지방 공공요금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중앙 정부가 지방자치단체별 물가 관리 평가를 실시하고, 8월부터는 지방물가종합관리시스템도 가동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연미 기자 chang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박연미 기자 chang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