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 급증세 '조기발견 중요'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최근 5년간 성조숙증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이 4.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성조숙증 진료인원은 2006년 6400명이던 것이 2010년 2만 8000명으로 4.4배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44.9%다. 성별로는 2010년 기준 여아가 92.5%를 차지했고 연령별로는 5-9세가 71%로 가장 많았다.성조숙증이 급증하는 이유는 소아비만 증가가 먼저 꼽힌다. 비만은 성조숙증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또 성적 자극에 쉽게 노출되는 환경도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준다. 여아의 경우 만 8세 이전에 가슴이 나오거나 음모가 발달하는 경우, 남아는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는 등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것으로 구분한다. 성조숙증은 발견이 늦을수록 치료 효과가 적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특히 성조숙증이 진행되는 경우 또래보다 신체성장이 빠르게 되는데 부모들은 "이렇게 잘 크니 나중에 키가 크겠지"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성장이 빠른 만큼 성장판이 일찍 닫혀 최종 성인키는 작을 확률이 매우 높다. 심평원 관계자는 "여자아이는 확연한 신체변화를 보여 진단이 쉬우나 남자아이는 증상 확인이 어려우므로 평소 아이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범수 기자 answe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신범수 기자 answe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