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위치기반 모바일커머스 서비스 '딩동' 출시

-고객은 실시간으로 주변 쇼핑 정보 확인 가능..가맹점은 맞춤형 홍보 효과 -적은 비용으로 소상공인들에게 안성맞춤..오픈마켓형 마케팅 플랫폼 기대-스마트폰, 태블릿PC 보유 고객이라면 누구나 다운로드 가능

LG유플러스, 위치기반 소셜쇼핑 '딩동' 서비스 구성도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LG유플러스(부회장 이상철)가 위치기반 모바일커머스(m·Commerce) 서비스인 '딩동(DingDong)'을 출시한다. 실시간 맞춤형 쇼핑 정보 제공은 물론 지역 소상공인들의 경우 적은 비용으로도 큰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LG유플러스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탈(脫)통신을 통한 한차원 높은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커머스 전문업체인 인터랙티비와 공동으로 위치기반 소셜 쇼핑 서비스인 '딩동'을 선보였다. 딩동에는 위치정보, 커머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게임 등이 결합돼 있다. 고객들이 스마트기기를 통해 딩동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으면 가까운 마트, 편의점, 음식점, 카페, 화장품점 등 다양한 업종의 지역 딩동 가맹점을 조회할 수 있다. 가맹점 방문시 자동으로 포인트를 적립받아 포인트몰의 상품과 교환할 수도 있다. 노세용 LG유플러스 컨버전스사업단 전무는 "딩동은 고객과 딩동 가맹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윈윈(WIN-WIN) 비즈니스 모델"이라며 "특히 향후 지역의 소상공 가맹점들이 딩동을 활용해 확보 고객 및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실제로 가맹점은 매장 인근 고객에게 매장의 상세정보를 제공, 방문객에게 포인트와 할인쿠폰, 이벤트 등 맞춤형 홍보가 가능하다. 매장 정보의 장기적 노출로 고객 관계를 유지하고 단골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효과도 누릴 수 있다.LG유플러스는 또 지역 소규모 업소도 손쉽게 쿠폰발행, 미션설정, 공동구매 등에 나설 수 있도록 딩동 서비스를 오픈 마켓형 마케팅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이에 딩동의 매장 방문 전환 비율은 기존 지역광고 대비 9~20배 수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노 전무는 "딩동 제휴 매장 및 가입자 기반이 안정화되면 리테일과 연계된 근거리무선통신(NFC) 결제, 무선인식전자태그(RFID), 물류 등 파생 비즈니스 확장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미 더페이스샵, 뷰티플렉스, 픽스딕스 등이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며 "지역기반 소기업, 자영업자들도 제휴에 적극 나서고 있는 중"이라고 전했다.딩동 서비스는 LG유플러스 가입자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PC 사용자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딩동 앱은 OZ스토어, 안드로이드마켓, 애플 앱스토어, T스토어 등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LG유플러스는 딩동 앱에 적립된 포인트로 고객들이 영화관람권, 문화상품권, 식·음료 쿠폰 등을 선택 구매할 수 있도록 포인트몰을 운영한다. 아울러 딩동 가맹점이 판매관리시스템(POS) 연동을 신청하면 매장에서 포인트 결제도 가능하게 할 방침이다. 한편 LG유플러스는 딩동 출시를 기념하기 위해 이벤트 행사를 진행한다. 앱 다운로드 고객 선착순 2만명을 대상으로 커피 음료 이용권을 무료로 제공하며 LG생활건강, 더페이스샵, 뷰티플렉스 방문 고객에게는 1만원 상당의 신상품 견본품을 무료로 제공한다. 내달 11일까지 SNS로 딩동 서비스를 친구에게 추천하면 매주 백화점 상품권, 영화관람권, 커피이용권 등을 추첨을 통해 제공한다.임선태 기자 neojwalke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임선태 기자 neojwalke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