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이야기]셔틀탱커, ‘육지-FPSO’ 연결하는 덤프트럭

해양 유전 개발 확대에 따라 개발 늘어드릴십 사용되는 첨단 기술 적용···수요 증가

FPSO와 셔틀탱커(사진: 서울대 해양공학연구실)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배 안을 여러개의 큰 구획으로 나눠 액체화물을 적재해 운송하는 탱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배들을 총칭해 ‘탱커(Tanker)’라고 부른다.탱커는 선적하는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데, 원유를 전문으로 운송하는 선박을 흔히 ‘유조선(COT, Crude Oil Tanker)’이라고 부르며 가장 많이 알려진 선종이다.또한 원유를 정제해 얻어진 제품, 나프타·항공유·등유·경유·중유·윤활유 등을 운반하는 선박을 ‘석유제품운반선(PC, Product Carrier)’이라고 부른다. 여러 종류의 화학제품을 액체상태 그대로 운송하거나 용기에 담아 운송하는 특수 운반선은 ‘화학제품운반선(Chemical Tanker)’이다. 벤젠, 톨루엔, 헥산 같은 석유화공용액과 알콜, 아세테이트, 염소화합물, 초산화합물 같은 화성화학요액 및 암모니아 수용액과 가성소다 같은 용해물질 등을 싣기 때문에 화물에 선체가 용해 또는 부식돼 손상되지 않도록 선체를 특수도료로 도장해 보호하거나 화물창 내부를 스테인리스스틸 강판으로 만들기도 한다.최근 들어 조선사들의 ‘셔틀탱커(Shuttle Tanker)’ 수주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셔틀탱커는 육상 위주였던 원유 개발이 해상으로 확대되면서 태어난 신종 선박이다. 즉, 해상에서 뽑아낸 원유를 육지 저장시설로 옮기는 업무를 맡는데 유조선과 달리 긴 거리를 항해하지 않는 대신 그에 맞는 북해 해상유전들이 개발되면서 해상에서 생산된 원유를 선적해 육상의 석유기지로 운송하기 위해 생겨난 새로운 종류의 유조선으로, 해상 시추선이나 부유식원유생산저장기지(FPSO)와 연결된 상태에서 원유를 공급받아 선적하는 역할을 한다.여기서 시추선이나 FPSO가 원유를 뽑아내는 해상은 해류나 조류가 발생하므로 셔틀탱커는 해상에서 원유를 선적하는 동안 일정한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 유조선에서는 흔히 사용되지 않는 인공위성을 이용해서 정확한 배의 위치를 파악해 선박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위치유지장치(DPS, Dynamic Positioning System)와 계류시스템(Mooring System)을 탑재한다. 또한 선수 쪽에는 액체화물 선적장치(BLS, Bow Loading System)가 장착돼 있는데, 선수에서 원유를 받아서 선창(Cargo Hold)으로 집어넣기 때문이다.기존 선미에 장착된 프로펠러만으로 추진하면 좁은 공간에서 선박의 위치를 세밀하게 잡기가 어렵다. 수백m 길이의 선박이 한바퀴를 회전하려면 수km의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셔틀탱커는 드릴십 등에 사용되는 스러스터(선박의 선수·선미 아래에 장착돼 360도 회전이 가능한 추진장치)를 장착해 전후좌우 어디라도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장비들은 대부분 디젤엔진이 아니라 전기로 구동되기 때문에 일반 유조선보다 고가 장비와 시스템이 사용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선가도 비싸다. 셔틀탱커를 고부가가치 선박이라고 부르는 이유다.셔틀탱커는 현재까지 16개국 28개 조선소에서만 건조됐거나 건조될 예정이며, 가장 많은 셔틀탱커를 건조한 국가는 전세계 93척중 35척의 건조를 한 한국(36%. 클락슨 리서치, 3월 기준)이며, 해당 선종 중 최대급은 15만8000t급이다.셔틀탱커는 해양 유전개발이 확대되는 등 해양 플랜트와 연계 발주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선사들도 이 시장 공략을 위한 영업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자료: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STX조선해양·한진중공업·성동조선해양>채명석 기자 oricms@<ⓒ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채명석 기자 oricms@ⓒ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