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한 리스크' 위기관리 나설때

[아시아경제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한반도에 위기가 고조되면서 '코리아 리스크'가 현실화하고 있다. 외국기업과 바이어들이 예정됐던 한국 방문을 잇달아 취소하는가 하면 한반도 정세와 안전 여부를 타진하는 해외의 문의도 크게 늘었다고 한다. 여행업계의 경우 외국 손님이 줄고 예약 취소가 빈발하는 등 벌써 타격을 입고 있다. 기업경영 일선에 '북한 도발'의 불똥이 튀고 있는 것이다. 한반도 정세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곳은 일본 기업들이다. 소니는 다음 달 1~2일로 잡혔던 한국에서의 부품구매상담회를 내년으로 연기했다. 혼다자동차는 북한의 연평도 폭격 직후인 24일부터 직원들의 한국 출장을 전면 금지시켰다.  일본 기업뿐만이 아니다. 광주에서 열리는 그린카 글로벌 벤처포럼에 참석키로 했던 폴란드 바이어들은 안전을 이유로 방한을 취소했다. 오스트리아의 한 스포츠용품업체는 내년 1월 KOTRA 주최로 서울에서 열리는 수출 상담회인 '바이 코리아'에 불참을 통보해왔다. 1000명의 바이어 유치계획을 세워놓은 KOTRA는 행사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한다면 해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정부와 관련단체, 기업들은 머리를 모아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때다.  한국무역협회는 '연평도 사태 특별대책반'을 설치해 해외바이어 동향과 무역업계 피해상황 점검에 나섰고, KOTRA는 해외 조직망을 활용한 '해외시장 비상대책반'을 구성하는 등 비상체제를 구축했다. 대외 거래가 많은 대기업들도 다양한 상황에 대비한 시나리오를 마련, 바이어 동향과 환율 움직임 등을 실시간 점검하고 있다고 한다. 가뜩이나 해외경제가 요동치고 있다. 유럽에서는 아일랜드에 대한 구제금융 지원으로 급한 불을 껐다고는 하지만 포르투갈과 스페인으로 재정위기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긴축 움직임도 수출업계에는 부담이다.  한반도 긴장은 실재하는 현실이며 어느 정도의 '북한 리스크'는 불가피할 것이다. 문제는 해외의 과잉 반응이다. 거래업체 동향을 점검하면서 이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위기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 다양한 상황에 대비하면서 필요 조치를 제때 취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