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골조 주상복합 화재에 취약..'재난예방시스템 재정비 절실'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1일 부산 해운대구 마린시티 내 주거용 오피스텔인 우신골든스위트 아파트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하면서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의 재난예방시스템을 재정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초고층 주상복합의 속성상 재난사고는 곧바로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재난예방시스템 구축이 무엇보다 우선시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이번 우신골든스위트 아파트처럼 철골조로 지어진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은 일반아파트에 비해 화재에 매우 취학한 편이라 주상복합 화재는 곧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또 초고층빌딩은 화재 진화나 인명 구조가 쉽지 않다는 점도 대형참사를 일으키는 요인이다. 펌프차의 살수 높이가 15층이 한계인데다 고가사다리차의 사다리가 닿을 수 없는 높이에는 헬기가 출동하거나 옥상에서 로프를 연결해 구조작업을 펼쳐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주상복합이 주거와 상가가 함께 공존해 있다는 점도 화재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부분이다. 조성범 우성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법 해석상 주거시설과 상가시설과 방재시스템이 서로 겹칠 경우 관리에 소홀해 질 수 있다"며 "일반적으로 주거보다는 상가시설이 화재에 더 취약한 편인데, 주상복합은 저층 상가에서 불이날 경우 고층 주거시설 까지 화재가 빠른 시간내 번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주상복합의 대형화재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는 대피공간에 설치된 진입문의 개선 등의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재성 한국사이버대학교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초고층건물의 피난안전 성능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대피공간은 대피를 하기 위한 대기장소이지 탈출장소가 아니며 구조지연시에는 연기로 인한 질식 위험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제도적 측면에서 개선방안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고층건물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정기화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조 교수는 "화재시스템이 가동돼도 신속하게 대피하는 주민들이 많지 않다"며 초고층빌딩에서는 간단한 사고도 대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실질적 방재·재난 대책을 제도화하고, 주민들을 철저히 교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소방시설을 의무적으로 작동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관리가 잘 안되고 있는 것도 문제"라며 "주민들의 안전교육과 함꼐 소방시설 정기검사 등도 꼭 챙겨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은정 기자 mybang21@<ⓒ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은정 기자 mybang21@ⓒ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