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경제 '경계 경보'

농산물 가격 쇼크 작년 4월이후 최고...환율 수출 위협

[아시아경제 이경호 박연미 박민규 기자]하반기들어 공공요금이 인상된 이후 최근 생선과 채소 등 신선식품물가가 폭등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당분간 인플레이션 우려는 없다'는 정부 판단과 달리 소비자물가가 이미 정부 예상치인 3%를 넘어선 데다 각종 경기지표의 상승세가 둔화조짐을 보이면서 향후 경기전망을 어둡게하고 있다. 물가불안과 더불어 내외 금리차와 수출호조로 외국인자본과 달러유입이 늘면서 환율 하락을 부채질해 그나마 경제를 지탱해온 수출전선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대비로 작년 4월(3.6%)이후 가장 높은 3.6%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3.1%로 작년 4월 이후 9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섰으나 2월부터 2%대를 유지했었다. 9월 소비자 물가는 전월 대비로 1.1% 상승해 3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이상 기온 등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생선과 채소 등 신선식품지수는 전년동월대비45.5%나 상승해 199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고기에 상추를 싸먹을 판"이라는 상추는 전년 동월에 비해 233.6%나 폭등했고, 호박(219.9%), 열무(205.6%), 배추( 118.9%), 마늘( 101.1%), 파(102.9%), 무(165.6%), 시금치(151.4%) 등도 줄줄이 폭등 대열에 합류했다. 전월(8월) 대비로도 호박이 131.4%, 상추가 101.0%, 파가 93.0%, 배추가 60.9%, 시금치가 73.4% 올라 가히 '농산물 가격 쇼크'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앞서 지난 8월 전기,가스,수도요금이 줄줄이 오른데다 이달부터 LPG가격도 올랐다.여기에 2년간 동결됐던 공무원 봉급이 내년에 5.1% 오르면서 임금인상 압력과 이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도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에 대해 윤종원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일시적으로 기후와 작황이 안 좋아 농산물 가격이 올라가면서 물가가 크게 올랐다"면서 "제철 채소가 나오면 물가가 서서히 내려갈 것이지만 10월부터는 기저 효과가 없어지면 3%대 물가 상승률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정부가 물가안정을 낙관하는 것과 달리 체감경기는 급속 냉각되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의 8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광공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7.1% 늘었으나 전월보다는 1.0% 줄었다.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1.0% 감소해 지난해 10월 이후 10개월 만에 줄었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전년 동월비는 5.9%로 전월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선행지수 전년 동월비 전월차는 13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한 이후 8개월 연속으로 떨어진 것이다.인플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통화당국이 환율, 금리정책에 더 공격적으로 나서야한다는 지적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국제통화기금(IMF)와 세계은행은 물론 국내전문가들도 경기회복이 본격화되는 지난해 상반기 유동성 증가로 인플레 압박이 경기회복국면과 맞물릴 것이라며 경고음을 내보내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를 비롯한 연구기관과 증권가에서는 "유동성 증가가 1년바에서 2년후 인플레로 전이된다"면서"내년 2ㆍ4분기(올해 2ㆍ4분기)를 전후해 인플레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주의보'를 발령했다. 하지만 물가조절의 핵심장치인 금리를 쥐는 한국은행은 금리인상보다 통화량 줄이기와 자산가격안정책 등을 쓰면서, 지난 7월에야 기준금리를 올렸고 지난달에는 시장의 예상과 달리 금리를 동결시켰다. 인플레를 잡는 선제적 조치는 금리인상이지만 김중수 한은 총재는 "우측 깜빡이를 넣으면 우회전한다"며 금리인상 의지만 피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최근 대내외 금리차로 인한 자본의 대거 유출입과 국내 외환보유고 증가로 환율이 하락하면서 금리를 올릴 경우, 환율 하락을 더 부채질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민간연구소 관계자는 "통화정책은 일반적으로 6개월 앞을 내다보고 해야 한다"면서 "한은이 이달 초 금리인상 시그널을 주다가 결국은 동결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만 커졌다"고 지적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물가 산정시 품목 개수와 특징의 차이가 있고, 소비자물가는 기술적 변화 등의 영향으로 체감물가보다 낮게 나타나 지수산정 방식에 한계가 있다"며 "체감물가 상승에 의한 기대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지표물가와 체감물가와의 괴리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며, 유통구조 효율화를 통해 농산물 가격을 안정시키고 기존의 지수산정 방식도 보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이경호 기자 gungho@박연미 기자 change@박민규 기자 yushi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경호 기자 gungh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