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은행권 구제금융 비용 500억유로

[아시아경제 조해수 기자] 아일랜드의 은행권 구제금융 비용이 500억유로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30일 아일랜드 재무부와 중앙은행은 스트레스 상황을 적용한 결과 은행권의 총 구제금융 비용이 약 500억유로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스트레스 상황은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65% 하락해 10년간 지속된다고 가정했다. 기본가정 시나리오에 따르면 450억유로가 필요하다.앵글로아이리시 은행의 경우 정부가 64억유로의 자금을 지원하며 예상치 못한 손실이 발생할 경우 50억유로의 자금을 추가 수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얼라이드아이리시 은행은 30억유로의 추가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정부가 지분을 인수, 국유화할 방침이다. 브라이언 레니한 아일랜드 재무장관은 “얼라이드아이리시 은행은 주식 공모를 통해 54억유로를 확충할 것”이라면서 “국민연금이 37억유로 상당의 주식을 매입하고, 정부가 보유한 35억유로의 우선주 가운데 17억유로를 보통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정부는 얼라이드아이리시 은행의 지분 18.7%를 보유하고 있는데 지분을 추가 매입하게 되면 지분 보유량이 약 90%까지 증가하게 된다. 은행권 구제금융에 따라 아일랜드 재정적자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32%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이는 유럽연합(EU) 재정적자 가이드라인인 3%의 11배에 해당하는 것. 현재 아일랜드 재정적자 규모는 GDP대비 11.75% 수준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아일랜드가 민간 부채를 공공부채로 이전하는 금융위기의 철칙을 따르고 있다”면서 “은행권의 부담을 납세자의 어깨로 넘겨버린 꼴”이라고 비판했다. 정부가 은행권의 디폴트 리스크를 떠안음으로써 아일랜드 디폴트 가능성이 증대됐다는 것. 그러나 은행권 구제금융을 위해 국채를 추가 발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240억유로 규모의 국민연금과 국채 발행을 통해 이미 확보한 200억유로로 자금을 충당할 수 있기 때문. 이에 따라 아일랜드는 10월과 11월로 예정된 국채발행을 취소했다.에볼루션증권의 개리 젠킨스 채권 리서치 대표는 “아일랜드는 이미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채권을 발행할 필요가 없다”면서 “현재의 아일랜드와 지난 5월의 그리스는 현저히 다르다”고 강조했다. 그리스는 유로존과 국제통화기금(IMF)로부터 3년간 1100유로의 구제금융을 지원받은 바 있다. 조해수 기자 chs900@<ⓒ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경제부 조해수 기자 chs900@ⓒ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