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설사 이렇게 대처하세요

[아시아경제 강경훈 기자] 여름철 누구에게나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설사. 단순히 먹은 것이 탈이 나서 생겼을 수도 있고 큰 질환의 증상일 수도 있다. 설사가 나면 어떻게 처치를 해야 하나? 지사제는 아무 때나 먹어도 되나?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소비자가 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계층·질환·성분별 '의약품 안전사용 매뉴얼'시리즈 두 번째로 “설사, 어떻게 해결할까요?”를 발간·배포한다고 밝혔다.이번 매뉴얼에는 설사 증상, 설사 원인, 여행지에서의 설사 예방법, 설사 증상 발생 시 대처법 및 지사제 사용 시 유의할 점 등이 담겨 있다.설사는 일반적으로 배변 횟수와 변에 포함된 수분 함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증상으로, 발열, 복부경련, 구토 등을 동반할 수 있다. 또 증상의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설사라고 할 수 있다. 급성설사는 대부분 세균,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성 설사이고, 만성설사의 경우 대부분 비감염성이며 장질환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설사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여름철에는 자주 손을 씻고 모든 음식은 가급적 익혀서 먹도록 하고, 특히 여행지에서는 얼음이 들어간 음료수나 물 보다는 가급적 끓인 물이나 포장된 생수를 먹도록 한다. 설사가 생기면 몸속의 수분이 손실돼 탈수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집에서는 수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보리차를 자주 섭취하도록 하고, 설사를 악화시킬 수 있는 카페인 함유 음료, 조리하지 않은 날 음식, 자극성이 강한 음식물 섭취를 피해야 한다. 보통 건강한 성인에서 나타나는 설사는 약을 먹지 않아도 단기간 내에 개선되지만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경우 설사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지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지사제는 약물의 작용 방식에 따라 장운동억제제, 살균제, 수렴·흡착제, 정장제 등 다양한 약물이 있다. 하지만 지사제의 대부분은 설사 증상만을 완화시키는 약이기 때문에 원인을 알지 못하고서는 함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특히, 혈변·흑색변이 나오거나, 열이 있거나 대변에 점액이 묻어나오는 경우나 지사제 복용 후에도 설사 증상이 지속되면 정확한 원인을 찾아 다른 적절한 처치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나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식약청은 이러한 정보를 식약청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복약정보방(//medication.kfda.go.kr)에 게시하여 소비자가 안전하게 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강경훈 기자 kwkang@<ⓒ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강경훈 기자 kwkan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