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車보험료도 오를 듯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하반기 자동차 보험료 인상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보험사 CEO들의 '보험료 인상 필요' 발언이 줄을 잇고, 금융당국도 초기 '보험료 인상 반대'를 외치던 강경 입장에서 선회해 인상 불가피론에 동조하는 분위기다.김정남 동부화재 신임 사장은 5일 취임 이후 처음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보험료가 인상 요인이 충분히 있다"며 "보험사가 최대한 인상요인을 흡수하되 자동차 정비요금 수가 인상과 같은 보험요율 인상 요인에 대해서는 수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사장에 앞서 지난 주 간담회를 가진 이창길 에르고다음다이렉트손해보험 사장도 "손해율이 높아지고 정비수가도 인상되는 등 원가인상 요인이 많이 발생했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보험료에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의 보험료 인상 요구는 하루 이틀이 아니다. 자동차 정비수가가 인상돼 보험 원가가 올라갔고, 자동차보험 손해율도 급등하고 있기 때문. 지난 달 자동차 정비수가는 18% 인상됐다. 이에 따른 보험료 인상분은 약 3.8%로, 현재 보험사들은 주요 정비업체들과 협상을 통해 오른 자동차 정비료를 보험료에 반영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올해 들어 낮아지는 듯 보였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지난 4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했다. 5월말 현재 손해율은 76%로 예정손해율 72%보다 4%포인트나 높다. 본격 휴가철을 앞둔 7~8월에 접어들면 손해율 상승폭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  '자구노력부터 하라'며 보험료 인상을 강하게 반대했던 금융당국도 최근에는 정비수가 인상으로 인한 보험료 인상은 인정하는 분위기다.  최근 금융감독원 고위관계자는 "정비수가 인상과 같은 명백한 인상요인에 대해서는 업계 자율적으로 인상해도 된다"며 인상요인을 용인했다. 물론 보험사들의 자구노력도 강조하고 있지만, 무조건 '자구노력'을 외쳤던 이전과는 달라진 분위기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정비수가 인상에도 불구하고 보험료 인상을 강제했던 금감원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보험료 인상폭은 3~4% 수준을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손해율 급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보험료 상승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지만, 금융당국이 가계 부담을 이유로 쉽게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손해율 인상폭을 보면 추가적으로 보험료를 올려야 하겠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므로 보험사들의 자구노력이 여전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단 지난달부터 적용된 보험료 할인 혜택 폐지 및 축소분을 고려하면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자동차 보험료 인상폭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이지은 기자 leez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지은 기자 leez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