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스토어는 개발자 '엘도라도' 아닌 '무덤'

4280만원 투자해 평균 83만원 수익

[아시아경제 조성훈 기자]앱스토어 열풍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개발로 대박을 터뜨릴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앱 스토어가 개발자들의 '엘도라도'라기 보다는 오히려 '무덤' 또는 '쪽박'이 될 수 있다는 일종의 경고다.6일 미국의 IT컨설팅 전문가 토미 에이호넌이 발표한 보고서 '앱스토어 경제학'에 따르면 아이폰 앱스토어의 유료 앱 연간 평균 순수입은 682달러(약 83만원)인 반면 평균 개발비는 이것의 50배가 넘는 3만5000달러(약 4280만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무려 51년이 걸려야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수 있어 개발자로서는 대박은 커녕 쪽박의 위험이 크다는 것이 이 보고서의 핵심이다.각종 통계자료를 분석해 앱스토어 생태계의 이면을 파헤친 이 보고서는 애플 앱스토어가 2008년부터 2010년 상반기까지 총 50억회의 다운로드 판매로 14억 30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다는 공식 집계에서 출발한다. 우선 앱 다운로드 1회당 매출은 29센트. 여기서 수수료(30%)를 빼면 순매출은 20센트로 낮아진다. 각종 기관 조사에 따르면 유료와 무료 앱의 비율은 73대 27 정도. 유료 앱 숫자로 총 매출을 나누면 유료 앱 개당 평균 연간 매출은 3050달러(수수료 제외)로 집계된다. 하지만 이 숫자는 현실보다 과장돼 있다는 주장이다. 베스트셀러 앱은 극소수이고, 대다수 유료 앱은 수 개월에 한 번 팔릴까하는 '롱테일'에 불과하기 때문이다.양키그룹이 분석한 평균 앱 가격 1.95달러로 총매출을 나누면 총 유료 다운로드 횟수 7억3300만건이 되는데 이는 결국 총 다운로드 50억회 중 14.7% 정도만이 유료 구매였다는 뜻이기도 하다.유료 앱 절반 이상이 지난 2년간 다운로드 수 1000건 미만이라는 점에서 수수료를 뺀 연간 순수입은 682달러라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대박을 기대하는 앱 개발자에게는 대단히 실망스러운 결과다. 하지만 이 또한 극소수 베스트셀러 때문에 평균치가 높게 나온 것일 뿐이라는게 에이호넌의 설명이다. 게다가 각종 조사에 따르면 앱 개발에 드는 평균 비용은 3만5000달러 정도인데 업데이트 및 유지보수에 1만달러 정도 비용이 추가로 든다는 것을 감안하면 약 51년이 걸려야 가까스로 손익분기점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에이호넌은 "최근의 앱 개발 열풍은 IT 버블 시기와 닮았다"며 "앱 개발 시장은 아직 대다수 개발자가 손실을 볼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현 시점에서는 다른 대안을 찾는 게 성공 확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조성훈 기자 search@<ⓒ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보과학부 조성훈 기자 search@ⓒ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