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연계 R&BD로 전환'

통합출범 지식경제 R&D양대산맥-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서영주 원장

공공기관 선진화에 계획에 따라 산업기술분야 연구개발(R&D)을 지원하던 7개 기관, 즉 산업기술재단, 산업기술평가원, 부품소재산업진흥원, 기술거래소,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디자인진흥원,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 등이 2개 기관으로 통폐합된지 3일로 1주년을 맞았다. 한 곳은 산업기술관련 중장기기획과 성과분석, 사업화 등을 전담하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원장 김용근)이고, 다른 하는 R&D 과제기획과 평가,관리를 전담하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원장 서영주)이다. 기관출범과 기관장 취임 1주년을 맞은 김용근, 서영주 두 원장을 만나 지난 성과와 향후 계획 등을 들어봤다. <편집자주>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KEIT는 올해 지경부 R&D 예산 4조4062억원의 약 40%에 해당하는 1조7867억원과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3297억원을 합친 2조1164억원을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과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등 주요 사업 재원으로 배분해 집행한다. 특히 미래 먹거리인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에 전체 사업 예산의 절반이 넘는 1조1066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서 원장은 행정고시 20회로 산업자원부를 거쳐 대구경북중기청장, 중기청 벤처기업장, 중소기업정책국장, 산업자원부 무역유통국장, 열린우리당 수석전문위원 , 전자부품연구원 원장,KIAT 초대 원장에 오른 산업기술분야 R&D 전문가다. 서 원장은 취임전부터 산업기술분야 R&D 지원 창구가 분산돼 비효율성이 많았다고판단,통합작업부터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에 초점을 맞췄다. 그는 우선 '지식경제 R&D' 지원 체계혁신에 집중했다. 통합대상 기관마다 달랐던 업무 프로세스를 표준화해 지난해 12월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기획ㆍ평가ㆍ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 규격) 인증을 획득했다. 평가위원 관리 강화를 위해 평가위원 풀(Pool)을 통합ㆍ정비했다. '수요자 중심 기획'이 되도록 상시 기술수요조사 근거 마련을 위해 관련 규정을 개정했고 선진 평가기법도 도입해 현재 운영 중이다. 정원감축,조직슬림화를 통해 조직을 재설계하는 한편 성과 관리를 체계화하고 보수 체계도 합리화했다. 올해는 R&D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해 종전의 '기술 개발을 위한 R&D'에서 '비즈니스로 발전되는 R&BD(사업화연계연구개발)'로의 전환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공모경쟁에 여러팀이 경쟁하는'기획 경쟁' ▲후보과제 풀인 '과제 뱅크' 구축 ▲상대평가를 통한 '중간 탈락(Early Exit)' 확대 ▲ 파격적 인센티브 제공 ▲'성실실패 용인제' 도입 등을 추진한다. 연구비 사용의 투명성 강화 및 연구자 편의성 제고를 위해 지난해 착수한 '실시간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RCMS) 구축 작업을 상반기 내 마무리하고, 시범 적용을 거쳐 오는 9월부터 RCMS를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가시적 R&D 성과 도출을 위해 10개 IT 분야에 적용한 상용제품ㆍ원천기술 성과 로드맵을 올해 안에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25개 분야 중 17개 분야로, 내년까진 KEIT가 관리하는 전체 산업 분야로 작성 분야를 늘려 이와 연계해 성과 관리를 해나간다는 방침이다.사업과 관련, 기존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과 별도로 '세계 시장 선점 10대 소재(WPMㆍWorld Premier Material)' 개발 사업과 '20대 핵심 부품ㆍ소재' 개발 사업 등을 역점 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전 세계적인 융합화 트렌드에 대응한 '융합 신산업 발전 전략' 역시 상반기 안으로 세워 실행에 나설 예정이다. 정보기술(IT) 소프트웨어(SW) 기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마련한 'SW 수요창출 프로젝트(WBSㆍWorld Best SW)'의 기획 및 평가ㆍ관리도 올해부터 3년 간 KEIT가 전담한다.서 원장은 "종전엔 R&D 지원 대상 사업자로 한 번 선정되면 중도 탈락 없이 끝까지 가고, 끝에 가서도 온정주의적 관행 탓에 실패로 판정되는 일이 거의 없었다"며 "과제 기획과 사업자 선정, 평가 등 기술 개발 사업 전반에 걸쳐 '경쟁'을 도입해 이런 구태로부터 탈피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경호 기자 gungh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