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갑 신당' 성공할까?

권노갑 소극적, 장성민 등 강력반대 당명은 DJ 추억어린 ‘평민당’...‘포말정당’ 가능성[광남일보 김대원 기자]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의 신당창당 승부수에 정가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지방선거가 채 3개월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나온 그의 결정은 여야 1대1 구도를 위해 사력을 다하는 민주당 뿐 아니라 특히 호남에서 무소속 출마를 준비중인 입지자들에게도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5일 ‘마포회동’에 참석한 동교동계는 10여명. 동교동계 좌장인 권노갑 전 민주당 상임고문을 비롯 김옥두, 정대철, 한영애, 이훈평, 남궁진, 윤철상, 최재승, 김경재, 장성민 전 의원 등 동교동계 1세대 그룹이 거의 망라됐다.한광옥 전 의원은 참석자들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뜻을 밝히고 병원에 입원한 것으로 알려졌고 한 전 대표와 노선을 달리해 온 국창근 전 의원은 불참했다.낮 12시부터 4시간 동안 진행된 이날 모임에서 참석자들은 신당 창당 여부를 둘러싼 치열한 논전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한 전 대표는 현재의 민주당이 DJ노선에서 크게 이탈했음을 창당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다는 전언이다.당명을 과거 DJ가 창당한 ‘평화민주당’을 그대로 차용한 것에서 보듯, 그는 ‘DJ이즘’의 유지 계승을 향후 정치활동의 주요 동력으로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평민당은 1987년 김 전 대통령이 대통령 출마를 결심하며 출범한 당이다.장성민 전 의원이 “민주당이 최근 도로 열린우리당으로 가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신당창당은) 이에 대한 동교동계와 민주계의 반발에서 비롯된 거대한 지각변동의 한 분파"라고 설명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구민주계의 한 당직자는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열린우리당과 친노 진영만 공천을 받는 등 편파적 당 운영이 노골화 되고 있어 신당 취지에 공감하는 이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그러나 한 대표의 도전 앞엔 많은 걸림돌이 도사리고 있다. 우선 자신에게로 점차 다가오는 듯한 검찰수사의 칼날을 어떻게 피해갈 것인가가 발등의 불이다.동교동계 내에 신당창당에 뜻을 같이하는 세력이 소수라는 점도 문제다.특히 좌장인 권 전 고문의 신중론은 사실상 동참하지 않겠다는 의사표시로 보여 동교동계 전체를 업고가려는 한 전 대표에겐 뼈아픈 대목이다.사실 권 전 고문으로선 신당창당 보다는 자신의 사면복권이 더 급하다. 차기 총선에서 목포출마의 뜻을 1백% 접은 게 아니라는 관측도 있다.동교동 내 창당 반대론자들이 지적하듯 지역주의 부활과 야권분열이라는 두가지 낙인은 현역 의원들은 커녕, 호남지역 지방의원 입지자들의 동참도 주저하게 만들 공산이 크다.창당자금은 난제 중 난제다. 동교동계에서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은 국창근 전 의원 정도가 꼽히고 있으나 우여곡절 끝에 한 전 대표와 완전 등을 돌린 상태다.국 전 의원은 정동영 의원의 민주당 입당 전, 그를 상대로 신당창당을 권유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반 한화갑, 비 민주당 입장을 고수중이다.정가에선 그래서 '한화갑 신당'에 대해 대부분 비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이런저런 난관을 뚫고 닻을 올리는데 성공해도 민주당 지방선거 공천탈락자 등 원외 정치인들의 결사체에 머물다 얼마안가 사라질 포말정당에 불과할 것이라는 관측이다.[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a>김대원 기자 dwkim@gwangnam.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광남-정치경제부 김대원 dwkim@gwangnam.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