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 팬디트 '2008년 주가 폭락 공매도 탓'

[아시아경제 안혜신 기자] 미국 3위 금융기관 씨티그룹의 비크람 팬디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008년 당시 주식 폭락의 원인을 공매도로 돌렸다. 구제금융과 관련, 납세자들에 대한 감사의 표시도 잊지 않았다.4일(현지시간) 팬디트는 워싱턴에서 열린 은행 구제금융 관리감독 패널에 참석해 "구제금융은 위기를 극복하고 탄탄한 성장을 회복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라면서 "정부에 감사한다"고 말했다.씨티그룹은 지난 2008년 가을 이후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을 통해 미 정부로부터 450억달러의 자금을 지원 받았다. 이 과정에서 40%에 가까운 지분을 정부에 넘기기로 하면서 사실상 국유화됐다. 지난해 12월에는 지원받은 구제금융 자금 200억달러를 상환, 현재 정부는 시티그룹 지분 27%를 보유하고 있다.팬디트는 지난 2008년 당시 주가 폭락의 원인을 공매도 탓으로 돌리기도 했다. 그는 "당시 씨티그룹의 주가가 떨어질 것이라고 베팅한 공매도 투자자들로 인해 주가가 3달러 밑으로 떨어졌다"고 비난했다.대마불사(too big to fail)의 전형으로 꼽힌 데 대해 그는 "씨티그룹은 자산 매각을 통해 핵심 사업에만 집중하고 있다"며 결코 '금융 슈퍼마켓(finanacial supermarket)'이 아니라고 항변했다.최근의 재무 상황과 관련해서는 "더 이상 TARP 지원은 필요하지 않으며 당장 오늘 스트레스테스트를 실시한다고 해도 통과할 수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안혜신 기자 ahnhye8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경제부 안혜신 기자 ahnhye8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