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일자리 창출이 청년실업 해결책<LG硏>

[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 청년실업을 해결하기 위해 장기 일자리를 양성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LG경제연구원의 이서원 연구원은 19일 '청년 일자리 창출의 베스트 프랙티스'란 제목의 보고서에서 "경기 침체기에는 고용의 안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단기적 조치를 강화해야 하지만 단기 정책적 지원이 그야말로 단기 일자리 창출로 그쳐선 안된다"고 강조했다.직무 경험습득과 후속 일자리 발견에 도움이 되지 못할 경우 이러한 정책은 자칫 재정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연구원은 장기적인 일자리 양성이 실업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경기 침체와 회복이 이루어지는 큰 주기에 따라 실업이 크게 늘고 줄어들게 될 경우 숙련된 차세대 인력 양성이 불가능해진다. 때문에 직무 경험 습득이 가능한 장기 교육을 동반한 일자리 창출이 중요하다.이 연구원은 구체적인 해결방안으로 정부의 인센티브를 중소기업 등에 장기 고용을 조건으로 제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청년 고용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독일이나 네덜란드는 정부 차원에서 실습교육을 후원하고, 실습교육을 마친 후에는 다시 이들의 실습 경험에 대한 자격증을 발급하는 제도로 이들이 계속 동일 분야에 종사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해준다.이 연구원은 이러한 정부의 고용 지원 정책에 각 지자체들이 청년들의 지역사회와 결합된 직무 능력 개발에 앞장서야 하며 각국별 상황에 맞는 정책을 끊임없이 재평가해 우리에게 맞는 정책으로 정착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