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이렇게 될 줄 알았다." 강경일변도의 민주노총 투쟁 노선을 바라보던 재계 관계자의 냉소적인 멘트다. 민주노총은 지난 10월 29일 복수노조 도입,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철폐를 놓고 재계와 '칼끝 대치'를 위해 형성했던 한국노총과의 연대까지 무너지면서 고립무원의 상황에 처하게 됐다. 사실 민주노총의 몰락은 올해 내내 지속되어 왔다. GM대우 완성차 노조가 생존이 우선이라며 민주노총 탈퇴를 선언했고, 충직한 친위부대 노릇을 했던 산하 최대 사업장 현대차 노조는 아예 민주노총의 틀을 바꾸겠다는 입장을 보이며 지도부를 당혹케했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민주노총은 강경투쟁이라는 관성적인 입장을 반복하면서 스스로 입지를 좁히는 길을 선택했다. 실제로 노사정위원회가 시작되자마자 한국노총과의 연대를 공고히하면서 "정부와 재계가 노동계의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12월 연대 총파업에 들어가겠다"며 으름장을 놓기도 했다. 그러나 현장의 반응은 냉랭했다. 한국노총마저 총파업 찬반투표 마지막날인 지난달 30일 연대 투쟁의 실익이 없다고 판단하고 '2대 논제' 유예를 받아들이겠다는 깜짝 카드를 꺼내들었다. 불과 한달전 강경 입장이었던 한국노총도 현장과 괴리된 투쟁 보다는 조직이 우선이라는 실리를 선택한 것이다. 민주노총 지도부는 현장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 입장 변화를 심각하게 고민해 볼 때가 됐다. 파업에 들어간 철도노조는 정부 강경대응으로 당초 목표로 했던 바를 성취하기 위한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고, 오는 12일 출범하는 전국공무원노조도 개정된 '공무원 복무규정'까지 더해져 활동 영역이 좁혀질 수 밖에 없다. 한국노총의 입장 선회에 대해 "조합원에게 큰 실망을 안겨주는 행위"라느니 "공조를 파기하고 단독으로 투쟁 노선을 고수하겠다"는 경직된 사고에 사로잡힐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