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올림픽유치 큰 꿈 '거인의 빈자리'

[아시아경제 우경희 기자]강원도의 요청이 다급하다. 김진선 강원도지사는 집행유예가 확정된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의 사면복권을 정부에 건의하겠다는 의사를 지난 17일 밝혔다. 이 전 회장의 사면복권, 혹은 삼성복귀 요구는 그간 재계와 정치권 일각에서 심심찮게 언급돼 왔다. 그러나 김 지사의 이번 요청은 배경 자체가 다르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라는 전국민적 염원 앞에 새삼 이 전 회장의 빈 자리가 크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동계올림픽 후보지 평창 실사에 내년 2월 돌입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개최지 선정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IOC 위원이 문대성 선수위원 단 한 명 뿐이다. 이 전 회장은 편법승계에 대한 사법처리로 위원 자격이 정지된 상태다. IOC의 자격상실 최종 결정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평창의 가장 큰 라이벌인 독일 뮌헨이 토마스 바흐 IOC 수석 부위원장을 앞세워 대대적인 로비를 벌이는 모습을 보며 유치위 관계자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관광인프라와 동계스포츠시설 열세를 극복하려면 스포츠 외교전을 치열하게 전개해야 하지만 진두지휘할 장수가 없다. 백의종군하고 있는 이 전 회장의 복권을 바라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는 이 전 회장의 영향력이 IOC 내에서 그야말로 '거북선 급'이기 때문이다. 삼성이 지난 1998년부터 동계올림픽의 톱스폰서로 참여해왔으며 이 전 회장 스스로 IOC 위원으로 활동하며 쌓은 위원 간 네트워크도 막강하다. 만약 이 전 회장이 유치전에 참가할 경우 2012 여수 엑스포 유치에 사실상 절대적인 영향을 준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을 전망이다.사법처리가 확정된 기업인에게 무작정 면죄부를 주는 것은 물론 옳지 않다. 그러나 올림픽이라는 범세계적 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는 기회를 앞에 두고 원칙만을 고집해서는 안된다. 꼭 징역과 집행유예로 묶어두는 것이 제대로 죄값을 치르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명분과 실리, 두 저울추 사이에서 정부의 고민이 시작돼야 할 때다. 우경희 기자 khwo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우경희 기자 khwo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