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미플루’ 사재기 조짐 (종합)

일부 의사, 병원직원이나 가족 앞으로 약 처방비급여성 처방 남발…치료약 재고 ‘위협’신종플루 감염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일부 의사들이 처방전 발행권한을 악용, 신종플루치료제에 대한 ‘사재기’를 부추기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27일 대전지역 보건소와 신종플루 치료거점약국 등에 따르면 최근 일부 병·의원 의사들이 가족이나 직원들 이름으로 된 타미플루처방전을 발행, 약을 챙긴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대전 서구 S산부인과는 지난 25일 의사와 간호사 등의 이름으로 된 5장의 타미플루처방전을 발행, 거점약국에서 약을 탔다.약을 내준 한 거점약국관계자는 “산부인과에서 처방전 5장이 한꺼번에 와 의아했다”면서 “다만 임산부 고위험군이어서 처방했다는 병원장 설명을 듣고 약을 줬다”고 말했다. 문제는 처방전을 받은 이들이 신종플루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이인데다 산부인과는 신종플루진단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곳이란 점이다.이 사실이 알려지자 대전 서구보건소는 약국에 접수된 처방전을 받아 해당 병원을 방문, 실태조사를 벌였다. 타미플루는 모두 회수됐다. 해당 병원장은 “신종플루 고위험군인 임산부 안전을 위해 의사와 직원들이 감염을 피하려는 예방목적으로 처방한 것일 뿐”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의사가 공공연히 자신의 가족들 이름으로 타미플루를 처방, 구입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대전 유성구의 한 거점약국 관계자는 “의원장 일가족 3명의 처방전이 한꺼번에 온 일이 있어 고심 끝에 약을 줬다”고 말했다. 신종플루 의심환자의 경우 ‘감염여부에 대한 정밀검사결과가 나오기 전에 치료제를 처방할 수 있다’는 의사들 권한이 남용되고 있는 것. 거점약국으로선 집단처방전이 의심스럽더라도 의사가 이들에게 증상이 있다고 잡아떼면 이를 막을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의료기관이 신종플루치료제 처방전을 남발하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해외여행을 가려는 사람들 이름으로 된 ‘비급여성 처방’이 많다.비급여 처방을 받으면 의료보험과 상관없이 신종플루치료약을 살 수 있다. 지금은 신종플루에 감염된 것을 확인되면 보험적용이 되지만 비축용으론 보험적용이 안 된다.처방전이 남발되면서 약을 사기 위한 사람들의 문의도 몰리고 있다. 그러나 신종플루치료약은 국가비축약품으로 물량이 한정돼 있어 거점약국들로선 약을 모두 내줄 수 없는 처지다. 대전 A약국의 한 약사는 “비급여 처방 문의전화가 하루 50여 통 걸려온다”면서 “하지만 약을 줄 수 없어 전화를 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의사들이 비급여처방을 자제해야함에도 그렇지 못해 정작 약을 사지 못한 환자들만 전전긍긍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에 따라 보건당국은 각 병·의원과 거점약국에 대한 행정지도에 나서고 있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신종플루 의심환자의 경우 처방전이 있더라도 환자상태가 양호할 경우 거점약국에서 병원 쪽에 다시 확인하는 절차를 밟도록 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