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관련법 가운데 방송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방송시장의 경쟁과 파이를 키우기 위해 신문ㆍ대기업의 방송 진출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지상파 방송에 대해 신문ㆍ대기업이 10%까지 지분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종합편성 및 보도채널에 대해서는 30%까지 허용하는 등 진입장벽을 대폭 완화했다. 또한 방송사에 대한 1일 소유지분 한도를 40%까지 확대한 것은 물론 종합편성과 보도채널에 대한 외국인 지분을 각각 20%와 10%까지 허용했다. 하지만 방송시장은 부문별로 각각 다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 채널, 지상파방송, IPTV 등 이른바 방송 3부문에 '손익계산서'가 다르기 때문이다. 일단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 채널 쪽에서는 역동적인 움직임이 감지된다. 일부 신문사들을 중심으로 발빠른 준비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종편 채널 '주판알 튕기기'=정부는 전국을 커버리지로 하는 종합편성 채널 부문의 '제4의 방송사' 출현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종합편성 채널은 전체 국민의 90%에 이르는 TV시청자가 가입한 유료방송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시청 범위가 '전국'이다. 케이블TV에 1500만 가구, 위성방송에 240만 가구, IPTV에 50만 가구가 가입해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행보에도 가속이 붙고 있다. 방통위는 8월중 종합편성 채널 승인계획을 마련해 의견수렴을 거쳐 9월 중 사업자 공모에 착수, 11월에 신규 종합편성 채널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종합편성 채널 2개, 보도채널 1~2개를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관건은 역시 자금 문제다. 종합편성 채널 한 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초기 투자자 비용만 3000억~4000억 원이 필요하고 운영비ㆍ제작비ㆍ장비보강 등을 위해 연간 5000억원 이상의 실탄이 필요하다. 게다가 초기 3~4년은 적자를 감수해야 한다는 게 방송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상파 춘추전국시대 오나='제4의 방송사' 출현은 지상파에도 예외가 아니다. 2013년 이후 KBSㆍMBCㆍSBS에 필적할 전국단위 지상파 방송사가 출현해 방송시장의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3년은 아날로그 방송이 끝나고 디지털방송 시작의 원년이다. 종합편성 PP의 등장과 함께 지상파 방송이 치열한 경쟁구도를 보이면서 '미디어 빅뱅'이 본격화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미디어 관련법과는 별개로 글로벌 방송시장의 디지털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한 측면도 있어 실제 경쟁상황은 더욱 치열해 질 것이라는 것이 방송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IPTV 사업자들 '관망중'= KTㆍSKT 등 통신업체가 방송콘텐츠 사업으로 사업범위를 확장할 경우 매체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시장진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종합편성 PP를 만들어 IPTV의 한계를 극복하고 콘텐츠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는 시각이다. 일단 통신사업자들은 말을 아끼고 있다. 당장 투자여력이 없을 뿐 아니라, 방송사업 진출시 뚜렷한 실익을 보장받기 어렵다는 것이 이유다. 최근 이석채 KT회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KT의 종편 또는 보도채널 PP진출을 묻는 질문에 의미심장한 표정만 지을 뿐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아 여운을 남겼다. 김진오 기자 jo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보과학부 김진오 기자 jo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