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리뷰] 자체발광폰 눈부신 디스플레이 실현

요즘처럼 휴대전화에 따라붙는 수식어가 많을 때도 드문 듯 하다. 터치폰 등장으로 휴대전화가 어느새 '흔들고 만지는 것'이 되더니 최근에는 휴대폰이 '보는 것'으로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보는 휴대폰의 대표주자라 할만한 제품이 바로 삼성전자의 '햅틱 아몰레드' 폰이다. 이 휴대폰은 흔들고, 만지는 것은 물론 '보고 즐기는 기능'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일단 심플한 디자인의 3.5인치 대형 액정은 확실히 이 제품이 '보는 것'을 강조한다는 점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터치폰답게 전면에는 대형 액정외 통화, 종료, 취소 3개의 버튼만 존재한다. 아몰레드(AM OLED)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라는 뜻 그대로 이를 채택한 아몰레드폰은 기존 휴대폰의 LCD액정이나 여러 IT기기들의 LCD 액정 그 어느 것과 비교해도 확실히 밝다. AMOLED는 자체에서 빛을 발하는 디스플레이로 동영상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햅틱 아몰레드가 보는 기능을 강조한 휴대폰으로 자리매김됐다는 것이다. 이처럼 월등하게 밝은 액정을 통해 동영상 감상, 사진촬영 등 보는 것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는 데는 아몰레드의 기능이 확실히 편리하고 뛰어나다는 점을 알 수 있다.먼저 아몰레드는 뛰어난 색 재현력과 넓은 시야각을 자랑한다. 이는 육안으로도 확인이 될 정도다. 제품을 이리저리 기울여도 시야각이 넓어 액정을 보기 편하고 야외의 강한 햇빛 아래서도 액정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햅틱 아몰레드의 사용자인터페이스(UI)는 기존 햅틱시리즈의 제품들보다 좀 더 다양화돼 있다. 입체적으로 화면을 변경할 수 있는 '큐브 UI'가 추가된 점도 특이하다. 이 UI는 자주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입체 형식으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으로, 터치폰의 재미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하지만 이 새로운 UI는 기존 시리즈보다 다소 느린 햅틱 아몰레드의 터치기능 때문에 크게 빛을 발하지는 못할 듯 하다. 햅틱 아몰레드는 비슷한 급의 다른 터치폰이나 이전 시리즈에 비해 터치에 대한 반응이 다소 느리고 둔탁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아몰레드를 잠시 만져본 여러 사람의 공통된 반응이 터치가 느리고 둔탁해졌다는 얘기를 한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 보였다. 터치감이 느려졌다고 느낀다면 빠른 화면 전환이 필요한 아몰레드의 큐브 화면 전환이 다소 답답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다. 한편 햅틱 아몰레드는 내장형 안테나를 탑재, 좀 더 편하게 DMB 등을 시청할 수 있도록 했으며 햅틱 시리즈의 매력 요소인 주사위 게임을 비롯한 게임 15여종이 담겨 있다. 또한 손전등과 GPS 기능도 포함하고 있어 구글지도 등과 연동해 길을 찾을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밖에 휴대폰을 여러 용도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고려해 인맥관리 기능, 일기장 기능, 파일뷰어, 전자사전, 그림메모장 등 편리하고 아기자기한 기능들을 추가하고 있는 점도 특징이다. 함정선 기자 min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보과학부 함정선 기자 min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