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車 연비규제 강화..글로벌 업계 술렁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메이커에 의무화하고 있는 자동차 연비규제를 강화하기로 하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는 고연비 차량 개발 부담을 떠안게 된 반면 일본은 일찍부터 하이브리드 차 등으로 고연비 성능을 실현한 만큼 미국의 기준은 쉽게 통과할 수 있다는 반응이다. 1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자동차 배출가스와 주행거리 기준을 대폭 강화한 이번 조치는 적용 시점이 4년 앞당겨졌으며, 업체별 생산 차종의 평균 연비는 2016년까지 갤런 당 35.5마일(ℓ당 약 15km)이 나와야 한다. 미 정부는 이를 통해 2016년 말까지 향후 5년간 판매되는 자동차들이 18억 배럴의 석유 소비를 줄이는 한편 온실가스를 9억t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연설에서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자동차의 연비는 높이고 배출 가스는 줄이는 조치를 발효시켰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규제 강화는 워싱턴을 변혁하는 '선구'적인 조치로, 2012년부터 연간 5%씩 개선시켜 2016년까지 승용차의 약 40%,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과 미니밴 등 소형 트럭의 30%의 연비 개선을 의무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또 "현재 미국이 도입하고 있는 연료경제의 규제가 불충분하고, 불투명하고, 유동적"이라 지적하며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007년에 통과된 신 에너지법에서는 2020년까지 연비를 현행 기준보다 40% 끌어올려 갤런 당 35마일로 하도록 정한 바 있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날 발표한 새로운 계획은 앞서 도입해 독자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캘리포니아 주(州)의 연비 규제와도 일치한다. 캘리포니아 주는 몇 년 전 자동차 업계와 전 조지 부시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6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30% 삭감을 목표로 하는 연비규제 강화책을 도입 시행해왔다. 이번 조치로 승용차는 갤런 당 39마일(ℓ당 약 17km), SUV나 미니밴 등 소형 트럭은 30마일(ℓ당 약 13km)의 연비 성능을 실현해야 한다. 승용차와 소형 트럭을 합한 평균 연비는 현재 25마일(ℓ당 약 11km)에서 2016년에는 35.5마일이 된다. 환경운동 단체와 정부로부터 공적 자금을 지원받아 경영재건에 나서고 있는 제너럴 모터스(GM) 등 자동차 메이커들도 이에 환영의 뜻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보호 단체인 '세이프 클라이 메이트 캠페인'의 댄 베커 실장은 "캘리포니아 주에 이어 정부의 조치로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가장 대단한 첫 걸음"이라고 평가했다. GM의 프리츠 헨더슨 최고경영책임자(CEO)는 "GM은 새로운 규제 실현에 만전에 기할 것"이라며 규제를 앞당겨 시행하는데 적극 동참할 뜻을 나타냈다. 이날 연설에는 레이 라후드 미 교통부 장관 등 각료와 함께 아놀드 슈왈츠제네거 캘리포니아 주지사, 론 게텔핑거 전미자동차노조(UAW) 위원장과 GM·포드·크라이슬러 등 '빅3' CEO가 참석했으며, 외국 메이커 가운데선 도요타·혼다·다임러 등 현지 법인 책임자가 참석했다. 한편 미국의 연비규제 강화는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에 고효율 차 생산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반면 일찍부터 환경기술을 강화해 온 일본 자동차 업계는 미국 시장 점유율을 늘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보고 있다. 미 정부가 적용시기를 4년 앞당겼지만 그 때까지 7년이나 남았기 때문에 부족한 기술은 그 사이에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도요타가 지난 18일 출시해 이달 안에 미국 시장에 투입되는 3세대 '프리우스'는 연비 성능이 ℓ당 38km로 이미 미국의 새로운 기준을 만족시키고 있으며, 혼다의 인기 소형차 '피트'도 ℓ당 24km의 연비를 달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일본에선 이번 미국의 규제강화가 실적 회복을 위한 순풍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한껏 들떠 있는 분위기다. 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경제부 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