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플루, 이젠 안심해도 될까?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던 신종 인플루엔자 A(H1N1ㆍ신종플루)가 국내에서는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감염이 확인된 신종 신종플루 환자들이 모두 퇴원해 일상생활로 복귀한 가운데 추가 의심환자도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아직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번 기회에 신종플루 등 '인수공통전염병'에 대한 종합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도 없지 않다. ◆아직 낙관하긴 일러 신종플루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환자들이 치료를 마치고 퇴원한 가운데 1주일 넘게 추가 의심환자가 발생하지 않고 있어 이제 전염의 위험은 크게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종플루는 증상 발현 후 7일까지 전염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세계적인 확산추세로 볼 때 아직 안심하기는 이르다고 주장한다. 신종플루 감염자는 현재 30개국에서 4000여 명을 넘어섰다. 최근에는 중국, 호주, 일본 등에서도 확진 환자가 속속 보고되고 있다. 특히 이들은 미국 등 북미에서 감염된 것으로 알려져 미국과 직접 교류가 많은 우리나라도 아직 안심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현재 미국의 감염자 수는 신종플루의 발생지인 멕시코를 넘어섰다.
◆신종 바이러스 등장 경계해야 전문가들은 이번 신종플루가 각국의 방역 수준과 바이러스 독성 등으로 볼 때 기존 대유행(pandemic) 인플루엔자와는 다르다고 분석했다. 전염 속도는 빠르지만 사스나 조류 인플루엔자(AI) 등에 비해 치사율은 낮다는 것이다. 11일 기준으로 신종플루에 의한 사망자는 60명 선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초기에 우려했던 돼지에 의한 감염도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는 견해가 많다. 송창선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는 "돼지에서 사람으로 전염되려면 여러가지 변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돼지로 인해 신종플루에 감염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신종플루도 사람과 돼지, 조류의 바이러스가 섞여 있는 변종으로 수십년간 변이를 거친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새로운 변종의 등장은 계속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홍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현재 어느 정도 방역 수준을 갖춘 나라에서는 통제가 되지만 저개발국가로 전파돼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신종플루는 독성이 약하지만 다른 바이러스와 결합해 치명적인 전염병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첫 환자가 발생한 중국이 2003년 사스의 공포를 떠올리는 것도 이때문이다. ◆신종플루 예방, 이것만은 주의 관련 전문가들은 사람 간 감염 속도가 빠른 신종플루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재채기나 기침을 할 때 화장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화장지를 버린 후 손을 씻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히 손을 자주 씻고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는 것을 삼가하는 등 위생에 주의해야 한다.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 등이 있는 사람과 접촉을 피하는 것도 필요하다. 박승철 삼성의료원 고문은 "현재 신종플루 치료제로 알려진 타미플루는 예방 효과는 없다"며 "타미플루를 미리 복용할 필요는 없으며 신종플루로 의심되는 증상이 발생하면 조기에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수공통전염병' 종합대책 절실 신종플루를 비롯해 광우병, 조류 인플루엔자 등이 연이어 사회적 이슈가 되자 사람과 동물이 서로 옮길 수 있는 '인수공통전염병'에 대한 종합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인수공통전염병 관련 연구개발 예산은 정부 전체 연구개발 예산의 0.06% 수준으로 약 70억원이다. 이는 일본이나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수준이다. 또한 백신개발을 포함한 인수공통전염병에 대한 국제공동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번 신종플루의 피해를 줄일 수 있었던 것은 적합한 백신이 개발돼 있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관련 전문가들은 "치사율이 낮고 소강국면에 접어들었다고는 하나 인수공통전염병의 위험은 늘 상존하고 있다"며 "이를 사전에 감지하고 백신을 신속히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인수공통전염병에 대한 종합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보과학부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