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표 미디어법안 타협안 두고 마찰

여야 대표는 미디어법안처리 방침을 합의한 뒤에도 마찰음을 냈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와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는 3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차례로 출연해 사회적 논의기구에서 합의한 내용을 미디어법안에 반영해야하는가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먼저 나온 정 대표는 사회적 논의기구에서 의견을 나누고, 100일이 지나 표결하겠다는 이번 타협안에 대해 “여론 수렴을 위해 논의기구를 둔다는 것에 대해 한나라당과 합의했다”고 주장했다. 정 대표는 합의내용이 새로 수정될 법안에 반영될지 “결국 국민이 지켜본다”며 “여론 수렴결과를 반영하는데 게을리 하고 현재의 원안을 그대로 밀고 나가서는 안 된다”고 한나라당에 경고했다. 그는 이번 타협안에 마뜩치 않아 하면서도 “완패할 것이냐, 후일을 기할 것 이냐 기로에 있었다”며 “앞으로 이 에너지를 투쟁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해, 여야간의 불씨가 사그라지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정 대표는 아울러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국회의장을 압박했다”면서 “국회의장이 굴복하지 않을 거라 생각했다”고 김형오 국회의장에 대한 섭섭함을 드러냈다.. 뒤이어 나온 박 대표도 포문을 열었다. 그는 사회적 논의기구에서 “타협을 위해 노력하고 그래도 안 되면 표결한다는 것이 이번 협상의 내용”이라고 소개하면서 정 대표의 주장을 반박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100일 동안 서로가 논의하면 문제가 봄 눈 녹듯 녹을 것”이라면서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다. 재벌의 지상파 방송진출을 금지한 새로운 안을 내놓은 박 대표는 “일자리도 급하지만 반대하는 분들의 마음도 달래주자는 것”이었다면서, 재벌의 지상파 방송을 통한 일자리 창출 논리를 일단 접었음을 시인했다. 김형오 국회의장에게 한나라당이 압력을 행사한 게 아니냐는 논란과 관련해서는 “비판이 아니라 권유를 한 것”이라면서 “(국회의장 탄핵론은) 일부에서 격하게 말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박 대표는 앞으로 구성될 사회적 논의기구에 “한나라당은 미디어 전문가가 들어간다”면서 “미디어 융합에서 좌표를 정할 사람을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박현준 기자 hjunpar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박현준 기자 hjunpar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