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여론몰이 파문 확산에 전전긍긍

청와대가 꽤나 난감한 상황에 빠지게 됐다. 김유정 민주당 의원이 제기한 용산참사 여론몰이 의혹과 관련해 하루 만에 입장을 바꿨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그동안 용산참사 국면전환을 위해 연쇄살인범 강호순 사건을 적극 홍보하라는 지침이나 공문의 존재에 대해 부인으로 일관해왔다. 특히 12일 인터넷매체 오마이뉴스가 공개한 이메일 공문과 관련, "청와대에서 사용하는 양식과 다르다"며 가짜 의혹을 제기할 만큼 당당한 태도를 유지해왔다. 청와대 관계자는 13일 이와 관련, "자체적으로 경위조사를 벌인 결과 온라인 홍보를 담당하는 모 행정관이 개인적으로 경찰청 홍보담당관에게 e-메일을 보낸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경위서를 받은 뒤 당사자에게 구두경고를 했다"고 밝혔다. 이는 없다던 이메일의 존재를 사실상 인정한 것. 다만 모 행정관의 개인적 행위로 한정해 청와대 차원의 조직적 개입이나 지시는 없었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하지만 용산참사 여론몰이 의혹을 제기했던 민주당 등 야권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용산참사와 관련,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의 거취 문제로 20여일 동안 장고를 거듭하다 김 내정자의 자진사퇴로 어느 정도 문제를 마무리한 청와대로서는 골치아픈 숙제가 또하나 추가된 셈이다. 특히 오는 25일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 1주년을 앞두고 청와대가 집권 2기 새출발을 다짐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아쉬운 대목이다. 또 정치권의 공방이 가열될 경우 2월 임시국회에서 민생경제 법안의 처리 역시 제속도를 내기도 힘들다. 경제살리기를 위한 속도전을 강조해온 청와대로서는 쉽지 않은 정국이다. 아울러 '용산참사 여론몰이' 의혹에 대한 야당의 공세와 여론 추이에 따라서는 꺼져가던 용산참사 정국의 불씨가 되살아날 수 있다. 이 경우 정치사회적 파문이 확산되면서 정국은 한 치 앞도 예상하기 힘든 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