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역할 조정 및 국방비 증액 등 논의되나
한·미·일 합참의장이 내주 서울서 회동을 갖고 북핵 대응 등을 논의한다.
3일 군에 따르면 김명수 합참의장은 오는 10~11일 서울에서 댄 케인 미국 합참의장, 요시다 요시히데 일본 통합막료장(합참의장 격)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한미일 3국 합참의장회의(Tri-CHOD)에 참석한다.
미군 현역 내 서열 1위인 합참의장이 방한하는 것은 2023년 11월 이후 1년 8개월 만으로, 이재명 정부 들어선 처음이다. 군 관계자는 "케인 의장이 Tri-CHOD 참석차 방한한다"면서 "한미일 군사협력과 북한의 핵·미사일 대응 등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기 행정부 들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고, 국방비 증액 압박이 이어지는 만큼 이번 케인 의장 방한 과정에서 관련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지금 뜨는 뉴스
케인 의장은 앞서 지난 4월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과 핵 프로그램은 즉각적인 안보 도전"이라며 "(합참의장에) 인준이 된다면 한국과 일본에 주둔하는 미군의 규모를 평가하고 국방부 장관과 대통령에게 권고안을 제출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