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보 책자·체크리스트 등 제공
서울 서대문구가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효율적 복지안전망 구축을 위해 ‘전입세대 위기가구 발굴 3종 세트’를 제작·배포하며 선제적 복지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구는 매년 15~20%에 달하는 전출입률에 착안, 전입 단계부터 잠재적 위기가구를 적극적으로 찾아 지원하기 위해 복지정보 안내 책자, 위기징후 체크리스트, 복지정보가 인쇄된 클리어 파일을 새롭게 도입했다.
안내 책자에는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지원, 주거복지,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 지원 등 분야별 생활정보와 자가진단 체크리스트가 담겼다. 위기징후 체크리스트는 통반장과 복지순찰대 등이 가정 방문이나 순찰 시 위기 징후를 조기에 인지하고 대응하는 데 활용된다.
클리어 파일에는 월세 체납, 우편물 누적, 실직, 고립 등 위기가구 징후와 신고 연락처가 인쇄돼 부동산 중개업소, 임대인, 임차인에게 배부된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복지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사회 인적 네트워크가 위기가구를 찾는 감지 센서 역할을 하도록 했다.
황명화 서대문구 인생케어과장은 “위기 상황에 처한 주민분들이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정보 부족”이라며 “이 책자를 통해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보다 쉽게 찾고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은 “임대료 체납이나 잦은 이사 등과 같은 거주지 불안정은 복지 위기의 신호인 경우가 많다”며 “이에 따른 맞춤형 복지정보 제공과 위기가구 발굴·지원에 매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이 구청장은 복지는 제도만으로 완성될 수 없고 주민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며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민관협력 및 복지자원연계’, ‘고독사 예방 및 관리’ 등 혁신적 복지정책으로 복지 전달체계를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