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수요 늘었지만 실적은 줄어
패키지 여행 외면, 자유여행객 증가
중고가 패키지, 디지털 전환 돌파구
올해 1분기 해외여행 수요는 늘었지만 주요 여행사들의 실적은 오히려 뒷걸음질 쳤다. 패키지여행을 외면하는 자유여행객 증가와 고환율, 항공권 가격 상승이 겹치면서 여행사들의 수익성이 악화했다는 분석이다.
자유여행 확대에 패키지 여행사 '직격탄'
20일 시장분석기관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하나투어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610억원, 영업이익은 127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1%, 41.2% 감소할 전망이다. 모두투어 역시 매출액 620억원, 영업이익 50억원으로 각각 21.8%, 12.2%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관광공사 통계를 보면 올해 1~2월 해외 출국자는 559만8550명으로 전년보다 6% 증가했다. 반면 주요 여행사들의 패키지여행 송출객은 감소했다. 하나투어의 1분기 패키지 송출객은 56만3432명으로 전년 대비 4.4% 줄었고, 모두투어는 25만2290명으로 23.5%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동남아, 일본, 남태평양 패키지 송출객수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하나투어의 일본과 남태평양 지역 1분기 송출객수는 각각 14만5000명, 2만3000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1.0%, 32.3% 줄었다. 온라인 여행 플랫폼(OTA)과 저비용 항공사(LCC)의 확산, 젊은 층의 자유여행 선호가 일본향 수요를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동남아 역시 28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8.1% 감소했다. 반면 중국과 유럽은 각각 64.1%, 12.1% 증가한 5만4000명, 3만7000명을 기록했다. 특히 중국은 지난해 11월부터 시행된 한시적 비자 면제 정책 효과가 반등을 이끌었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자유여행을 선호하는 여행객 증가로 패키지 중심의 여행사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며 "OTA와의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차별화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돌파구 모색하는 여행사
하나투어는 '노(NO) 쇼핑·NO 팁'을 강조한 중고가 패키지 '하나팩 2.0·3.0' 중심으로 객단가를 높이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중고가 패키지 비중은 29%로, 2019년(8%) 대비 세 배 이상 늘었다. 또 '에어텔' '내맘대로 여행' 등 자유여행형 결합상품도 강화해 젊은세대 공략에 나선다.
디지털 전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하나투어의 온라인 판매 비중(고객 기준)은 전년 대비 37% 증가했다. '하나오픈챗' '하나ON 플래너' '하나라이브'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고객 접점을 늘리고 있다.
아웃바운드 확대를 위한 해외 투자도 병행하고 있다. 싱가포르 현지 여행사 지분투자와 일본법인(하나투어 재팬)과의 연계를 통해 글로벌 송객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동남아를 포함한 신시장 개척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하나투어는 2027년까지 매출 9000억원, 영업이익 1400억원 이상을 달성하고, 영업이익률도 15%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를 위한 재무 전략도 공격적으로 수정했다. 지난 15일 이사회에서는 보유 자사주 3.4%를 전량 소각하기로 결정했고, 2027년까지 연간 순이익의 50%를 배당 및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배당성향은 30~40%, 자사주 매입·소각 비중은 10~20% 수준으로 설정됐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