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족 수도권 거주자 49.5%, 30~40대 67.5% 달해
부동산 상승기에 영끌로 집값 더 밀어올릴 가능성
영끌 심할수록 소비악화, 상환능력 안에서 차입하는 것이 바람직
수도권에 거주하는 30~40대가 부동산 상승 구간에서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대출로 집값을 더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끌이 심화할수록 소비 여력 축소가 일어나 경기회복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정부가 과도한 영끌 현상을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한국금융연구원의 '영끌현상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 시장에서 영끌 차입자의 35.3%가 인천·경기 지역 거주자였다. 14.2%인 서울 거주자를 합치면 수도권 거주자는 49.5%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영끌 차입자의 개인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두 자릿수를 지속했던 2020년 7월부터 2022년 4월 중에 발생한 부동산 거래를 조사했다. 조사는 코리아크레딧뷰로(KCB) 표본자료(약 220만명 차주)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영끌차입자의 기준은 주택 관련 자금 목적으로 민간 금융회사(정책성 주택자금대출 제외)로부터 주택담보대출 이외에 신용대출 등 이용 가능한 기타대출까지 추가로 차입한 사람이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영끌족의 42.5%를 차지했으며, 40대가 25%로 30~40대를 합치면 67.5%에 달했다. 29세 이하가 14.2%, 50대가 12%, 60세 이상이 6.4%였다. 전체 주담대 차입자 중에서 영끌 차입자 비중은 아파트 매매 가격이 오르기 시작한 뒤 3개월 후에 주로 상승했다. 또한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하락하면 5개월 후에 영끌족이 늘어났다. 영끌 차입자 비중이 경기확장기 전반부에 주로 상승하며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역할을 한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다만 영끌 차입자는 주택담보대출과 기타대출을 업권을 변경하며 차입하기보다는 동일업권에서 모두 차입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소위 대출이 용이한 업권을 찾아다니는 '대출쇼핑' 사례는 많지 않았다. 은행권 주담대 차입자 중에서 제2금융권에서 기타대출을 추가로 차입한 사람의 비중은 28.6% 정도였다.
보고서는 영끌현상이 심화할수록 상환부담 급증에 따른 소비 여력 축소가 일어나고 이는 경기확장기의 회복 강도를 약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특히 영끌 현상은 경기확장기 전반부에 뚜렷한 것으로 분석되는데 영끌 차입자의 경우 추가적인 차입이 어려운 금융 제약하에 놓인 소비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금융 제약하에 놓인 차주일수록 자신의 소득과 관계없이 일정한 소비수준을 유지하려는 소비평탄화를 위한 추가 차입이 어려워 소비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뜨는 뉴스
영끌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시행 중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언급했다. 영끌차입자 대부분이 DSR 50% 이하였음을 감안해 볼 때 DSR 규제가 영끌현상 완화에 긴요하다는 것이다. 임형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상환능력 내에서의 차입관행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현재 정부가 시행 중인 DSR 제도 정교화를 통한 가계부채 관리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