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LH 매입사업 효과…인천선 보증금 전액 회복 사례도”
전세사기 피해자 2만8666명 결정…가결률 69%·청년층 75%
패스트트랙 도입 등으로 회복 속도↑…실제 매입 307건 진행
국토교통부는 “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사업을 통해 지금까지 매입·정산이 완료된 44건을 분석한 결과, 피해보증금 평균 회복률이 78%에 달했다”고 1일 밝혔다. 개정된 '전세사기피해자법' 시행 이후 피해자 주거 안정과 손실 회복 지원이 실질적인 효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사업은 LH가 피해자로부터 우선매수권을 양도받아 경·공매를 통해 주택을 매입하고, 이를 공공임대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경매차익을 피해자의 보증금으로 전환해 최대 10년 동안 임대료 부담 없이 거주하거나, 퇴거 시 차익을 현금으로 돌려받는 구조다.
특히 후순위 피해자의 회복률이 크게 향상됐다. 경매 절차만으로는 보증금의 37.9%만 회복 가능했던 후순위 피해자 28명은 LH 매입과 경매차익 지원을 통해 평균 73%를 회복했다. 인천 미추홀구에선 보증금 전액을 회복한 사례도 2건 나왔다.
전세사기 피해자 결정도 속도를 내고 있다. 3월 한 달간 열린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 전체회의(60~62회차)에서는 2062건을 심의해 873건을 피해자로 가결했다. 이로써 누적 피해자 결정 건수는 2만8666건에 이르렀다. 가결률은 약 69%다.
피해자의 대부분은 수도권(60.5%)에 거주하며, 3억원 이하 보증금이 전체의 97%를 차지했다. 주거 유형은 다세대주택, 오피스텔, 다가구 순이었고, 연령별로는 40세 미만 청년층이 약 75%에 달했다.
국토부는 피해 회복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협의 절차를 간소화한 ‘패스트트랙’을 도입하고, 경·공매 절차의 신속한 진행을 위해 법원 등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9889건의 매입 사전협의 요청이 접수됐으며, 이 중 307건의 피해주택이 실제 매입됐다.
지금 뜨는 뉴스
박진홍 국토부 피해지원총괄과장은 “개정 특별법 시행 이후 LH 매입사업이 후순위 피해자와 소액보증금 대상이 아닌 피해자들에게도 실질적인 회복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전세사기 피해자들이 하루 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