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대 국제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S&P와 국가신용등급 평가를 위한 연례협의를 진행한다. 연례협의 결과에 따른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결정은 오는 5월께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기획재정부는 오는 10일부터 14일까지 킴엥 탄 S&P 국가신용등급 아태총괄, 앤드류 우드 S&P 국가신용등급 담당 이사 등 협의단이 한국을 찾아 2025년 연례협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협의단은 기재부를 비롯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와 한국은행, 한국개발연구원(KDI),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등 연구기관과 민간 기업을 방문해 한국 경제상황과 정책방향에 대한 설명을 들을 예정이다.
S&P는 반도체·인공지능(AI) 분야 발전 전략, 부동산 정책, 양극화 대응방안, 재정 및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 저출생 대응방안, 청년실업, 미국 관세부과 영향, 가계부채 등 관심 사항을 중심으로 연례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1월 출범한 '범정부 국가신용등급 공동대응 협의회'를 중심으로 이번 S&P 연례협의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의 대면 면담도 추진할 예정이다.
3대 신평사들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결정을 위한 연례협의를 매년(무디스는 격년) 진행해왔는데, 연례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통상 2~3개월 후 신용등급을 발표해왔다. 앞서 피치는 지난해 12월 연례협의를 진행한 뒤, 올 2월에 신용등급을 발표한 바 있다.
지금 뜨는 뉴스
S&P는 지난해 4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기존 수준(AA, 안정적)으로 유지해 발표했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