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 방패, 심장부를 가다②]
TSMC 투자 현황 따라 방문객 국적 달라져
혁신관, 하루 최대 100팀 방문하며 문전성시
현지인들도 '호국신산' 자부심
!["하루 100팀도 온다" 神이 된 TSMC, 요즘 신주에 인도인 북적이는 이유[르포]](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5030416171553851_1741072634.jpg)
"TSMC의 최신 투자 현황에 따라 신주를 방문하는 주요 외국인들의 국적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최근에 인도 투자가 추진되면서 나타난 현상인 거죠."
지난달 20일 방문한 대만 중부 신주과학단지 내 TSMC 혁신관(박물관). 본사인 모리스 창 빌딩과 맞닿은 이곳에 유난히 인도 국적으로 보이는 외국인이 자주 눈에 띈다. 현장을 함께 찾은 현지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TSMC가 인도에 생산 공장 설립을 결정하고 투자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그 배경을 짚었다. TSMC는 인도 타타그룹과 협력해 인도 구자라트주에 레거시 공정인 28나노미터(㎚) 파운드리 공장을 짓겠다고 밝힌 상태다. 투자 규모는 110억달러(약 14조75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방문객 열 명 중 아홉은 외국인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삼삼오오 팀을 이뤄 40분가량의 투어 프로그램을 따라 TSMC의 역사를 훑었다. 반도체 기술 변천사와 창업주 모리스 창의 창립 스토리를 살펴보고 증강현실(AR) 등 일부 기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 프로그램은 TSMC의 급성장과 함께 외국인 방문객들의 필수 관광코스가 됐다. 혁신관은 언론을 비롯한 외부의 접촉을 극도로 꺼리는 TSMC의 유일한 홍보 창구이기도 하다. 현지 큐레이터는 "최근 들어 TSMC에 관심을 가지는 방문객이 급격히 늘기 시작했다"면서 "많은 날에는 하루에 100팀 정도가 찾는다"고 전했다.
대만인들 사이에서도 혁신관은 인기가 높다. 모리스 창 빌딩 앞에서 만난 30대 황모씨는 TSMC 소속이 아니라면서도 "어린아이부터 노인들까지, 지역민들은 모두 이 기업을 통해 대만이 부강해지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전했다. 그는 "TSMC 직원들은 ‘샹반샤반(上班下班·출퇴근을 의미하는 중국어)’ 대신 ‘샹산샤산(上山下山)’이라는 표현을 쓴다"면서 "‘호국신산(護國神山·나라를 지키는 신령스러운 산)’에 대한 자부심과 존경심을 재미있게 표현한 것"이라고 웃어 보였다. 호국신산이란 대만 내에서 통용되는 TSMC에 대한 일종의 존칭이다.
그 이면엔 중국의 군사적 위협으로부터 지켜줄 뿐 아니라,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의 존재감 덕에 외교력이 없는 상황에서도 제법 업계에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됐다는 의미가 담겼다. 날로 불어나는 매출과 7만여명 규모의 고용으로 대만을 더 부유하고 강하게 해줬다는 고마움도 작용한다.
지금 뜨는 뉴스
TSMC 혁신관은 한 달여 전부터 예약이 마감되는 등 인기를 얻고 있다. 과거 혁신관 투어를 담당했던 관계자는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들이 학생들을 선발해 TSMC 혁신관과 본사를 정기적으로 방문하곤 했는데, 5~6년 전까지만 해도 관내가 텅텅 비어 썰렁했을 정도"라면서 "변화된 TSMC의 업계 위치와 존재감이 반영된 변화"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신주(대만)=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