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론]‘더 받는’ 연금개혁은 안 된다

시계아이콘01분 2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시론]‘더 받는’ 연금개혁은 안 된다
AD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지지율은 바닥으로 추락했다. 연초 여론조사 결과 21%로, 6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조기총선 승부수도 통하지 않아 국정 장악력을 잃었다. 급기야 ‘마크롱 퇴진론’까지 불거졌고, 불씨는 여전히 꺼지지 않고 있다.

2023년 마크롱 대통령이 단행한 연금개혁(정년을 기존 62세에서 2030년까지 점진적으로 64세로 연장·연금을 100% 수령하기 위해 기여해야 하는 기간을 기존 42년에서 2027년까지 43년으로 연장)이 이런 사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연금개혁과 맞바꾼 지지율’이란 말이 나온다. 결국 독이 든 성배가 됐지만 “포퓰리즘을 거스른 결단”이라는 정치적 평가는 여전히 유효할 것이다.


연휴 기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민연금 개혁 이슈를 다시 꺼냈다. 2월 중 모수개혁(보험료율·소득대체율 조정)을 매듭지은 후 구조개혁(국민·공무원·기초연금 조정) 논의에 착수하자는 것이다. 급하면서도 중요한 이슈를 먼저 치고 나가는 성격이 강하다.


앞서 지난해 5월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모수개혁을 놓고 합의 직전까지 갔다. 보험료율(기준소득 대비 내는 돈)을 현행 9%에서 13%로 올리는 데는 이견이 없었다. 소득대체율(가입 기간 평균소득 대비 받는 돈) 인상에서 의견이 갈렸다. 국민의힘은 현행 40%에서 44%를, 민주당은 45%를 내세웠다. 당시 이 대표가 양보한다며 국민의힘 안을 받겠다고 하자 국민의힘이 구조개혁과 병행해야 한다고 맞서면서 동력을 잃었다.


이 대표는 지난달 31일에도 “2월 안에 모수개혁을 매듭짓자”라며 “합의하는 게 아예 안 하는 것보다 낫다”고 속도를 냈다. 국민의힘 안 수용 가능성에 무게를 실은 발언인데, 지난해와 달라진 내용은 없다. 이슈 선점성 발언이라고 한 이유다. 국민의힘이 받을 리 없다. 역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모수개혁과 구조개혁을 동시에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도돌이표다.


시간은 급한데 돌림노래만 하는 정치권이 야속할 법도 하다. 하지만 지금 양 당의 모수개혁안은 안 하니만 못 한 방안일 수 있다. 비유하자면 액셀과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고 있는 모양새여서다.


국민연금 개혁이 화두가 된 이유는 기금 고갈 우려 때문이다. 그래서 개혁의 초점은 최대한 돈을 모으는 데 맞춰야 한다. 그런데 돈을 모으자고 보험료율을 올리면서(액셀 밟기), 돈을 더 쓰는 소득대체율까지 올리면(브레이크 밟기) 연금이 제대로 굴러갈 수 있을까.


액셀을 밟았으면(‘더 내고’) 최소한 브레이크는 밟지 말아야(‘더 받는’은 없어야) 한다. 보험료율은 올리되, 소득대체율은 내리거나 최소한 현행을 유지해야 한다는 얘기다. 당연히 인기 없는 방안이다. 그래도 미래세대에게 부담을 넘기지 않으려면 누군가는 진실을 말하고, 총대를 메야 한다.


AD

(*일본은 2004년 연금개혁을 단행해 13.9%였던 보험료율을 2017년 18.3%까지 올렸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가 총대를 멨다. 스웨덴은 1998년 보험료율을 13.0%에서 18.5%로 올렸다. 앞서 1991년 5개 정당이 연금개혁은 이념 문제가 아니라며 총대를 멘 게 토대가 됐다. 독일은 세 차례나 개혁을 단행했는데, 역시 콘라트 아데나워, 게르하르트 슈뢰더 등 당시 총리들이 총대를 멨다.)




김필수 경제금융매니징에디터 pils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1114:00
     송인수 "채용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송인수 "채용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출신 대학을 보고 채용하는 문화가 바뀌지 않는 한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도 없다." 송인수 교육의봄 대표는 아시아경제의 인터뷰에서 "기업이 채용할 때 지원자의 능력보다 '출신학교'를 보고 뽑기 때문에 학벌 경쟁이 벌어지고, '학벌'을 얻기 위해 사교육비 폭증이 생기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2020년 창립한 교육의봄은 대한민국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벌 없는 채용'이 핵심이라고 보고, 기업의 채용 변화에 나

  • 25.06.1114:00
     윤지관 "대학 특성화로 서열 구조 타파해야"
    윤지관 "대학 특성화로 서열 구조 타파해야"

    "대학 특성화를 통해 지방 대학을 살려야 서울 중심 대학 서열 체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윤지관 대학문제연구소 소장은 아시아경제와 만나 "서울 중심의 대학 서열 구조는 교육을 넘어 저출산의 원인이 되는 한국 사회의 근본적 문제"라고 말했다. 2014년 설립된 대학문제연구소는 대학 문제가 고등교육만이 아니라 인구, 사회불평등구조, 국민복지, 지역균형발전 문제 등 국가 의제와 맞닿아 있다는 인식 아래 해법을 연구해

  • 25.06.1114:00
     남궁지영 "정권 변해도 교육 정책은 백년가야"
    남궁지영 "정권 변해도 교육 정책은 백년가야"

    수능 응시자 3명 중 1명은 N수생인 시대다. N수생 증가는 수능 대비를 위한 사교육 증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교육 불평등 확대 등의 부작용을 낳는다는 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대표적인 교육 문제로 꼽힌다. 최근 N수생 실태를 조사한 남궁지영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잦은 입시 정책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야말로 교육 개혁의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남궁 연구위원은 "2019년 조국

  • 25.06.1015:00
     벤 넬슨 "입시, 대학 자체 기준으로 뽑아야"
    벤 넬슨 "입시, 대학 자체 기준으로 뽑아야"

    "한국의 대학 입시 제도 개혁을 위해서는 모든 대학이 '하나의 시험'으로 인재를 선발할 게 아니라, 각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에 따라 자율적으로 뽑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벤 넬슨(Ben Nelson) 미네르바 대학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아시아경제와 가진 서면 인터뷰에서 "대학별로 자체적인 입학 기준을 가져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넬슨 설립자는 대학의 인재 선발 확대가 수험생(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

  • 25.06.1015:00
     양오봉 "국가교육委 역할과 권한 강화해야"
    양오봉 "국가교육委 역할과 권한 강화해야"

    양오봉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전북대 총장)은 '입시 지옥'으로 대변되는 한국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인 토론형 교육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아시아 경제 인터뷰에서 "초등학교 교육부터 대학 교육까지 지식 전달식(주입식)으로 교육이 이뤄지는 것이 문제"라고 짚으면서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교육보다는 암기,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이 아직도 개선이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 25.06.1408:00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학교를 겨냥한 전방위적 압박에 나서면서 전 세계 유학생들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문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버드대의 진보적 성향과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몇 주간 세 차례에 걸쳐 하버드 대학교 유학생 등록을 막고 비자 발급을 취소하려 했지만, 매번 미국 연방법원의 제동에 부딪혔다. 하

  • 25.06.1109:50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서울대 정치학부 교수가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해 "이재명 정부의 첫인사는 무난했다. 문재인 정부 첫인사보다 낫다"고 평가했다. 지난 10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강 교수는 "당장은 경제가 급하지만, 이 대통령이 국가의 장기 발전과 관련한 인프라를 깔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입법권이 사법권을 침해하는 듯한 모양새를 연

  • 25.06.0707:30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최근 미국 월가에서 '타코(TACO)'라는 신조어가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멕시코 음식 타코가 아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장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기자에게 "무례하다"며 강하게 반발한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조롱하는 영상들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월가의 신조어 타코는 'Trump Always Chicken

  • 25.06.0517:15
    ②박명호 교수 "이 대통령 과반 못 넘은 것 항상 유의해야"[AK라디오]
    ②박명호 교수 "이 대통령 과반 못 넘은 것 항상 유의해야"[AK라디오]

    5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박명호 동국대 정치학과 교수는 "이재명 대통령은 기회와 위기 요인을 동시에 갖고 있다"며 "단기보다는 중장기를 준비하는 리더십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보수의 키맨은 이준석·한동훈이 될 것"이라면서 "총선이 많이 남아 있어 국민의힘의 변화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선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승부는 이미 결정된 선거였다. 기본적

  • 25.06.0417:35
    ①김만흠·채진원"대선 결과는 계엄 심판, 독주 견제"[AK라디오]
    ①김만흠·채진원"대선 결과는 계엄 심판, 독주 견제"[AK라디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21대 대한민국 대통령이 됐다. 이재명 후보는 49.42% 득표율을 기록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41.15%),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8.34%),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0.98%)를 제쳤다. 4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김만흠 전 국회 입법조사처장과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계엄에 대해 심판하면서도 이재명 후보가 과반을 얻지 못하고 김문수 후보와의 격차가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