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거 건수도 30.2% 늘어
하반기 맞춤형 전략 수립
올해 상반기 학교폭력 신고 건수가 전년 대비 7.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성폭력·성희롱의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22일 서울경찰청은 올해 상반기(1~6월) 학교폭력 신고 건수가 4688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4351건) 7.7%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검거 건수는 1032건에서 1344건으로 30.2% 늘었다.
유형별로는 성폭력·성희롱의 증가 폭이 컸다. 올해 성폭력·성희롱 신고 건수는 662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253건) 161.7% 증가했다. 검거 건수는 217건에서 315건으로 45.2% 늘었다. 신고된 사건을 분석한 결과, 강제 추행(55.9%)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성희롱(16.8%), 카메라등이용촬영죄(11.3%) 등이 차지했다. 특히 강제추행은 이성(47.3%)보다 동성(51.9%) 간 발생 비율이 높았고, 남성 간(89%) 발생 비율이 여성(11%)에 비해 많았다.
연령별로는 초등학교(47%), 중학교(34%), 고등학교(15%) 순으로 많았다. 전년과 대비해 초등학교는 5.2% 감소했고, 중학교는 21.6%, 고등학교는 35.2% 증가했다. 장소는 학교 안(45.4%)보다 학교 밖(54.6%)에서 발생 비율이 높았다.
서울경찰청은 상반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반기 학교폭력 대응 활동을 전개할 방침이다. 먼저 여름방학을 맞이해 '스쿨벨'을 발령한다. 스쿨벨은 경찰과 교육청이 협력해 신종 학교폭력 등이 발생한 경우 학부모와 학교에 신속하게 전파해 범죄를 예방하는 알림 시스템이다. 이번 여름방학 스쿨벨에는 사이버 성폭력(딥페이크), 도박·마약, 절도에 대한 최근 피해 및 검거 사례를 담는다. 아울러 딥페이크 등 신종 청소년 성범죄에 대해 검거사례, 적용법조 등을 포함해 피해 확산 차단 및 경찰의 엄정 대응 기조를 표명할 예정이다.
여름방학 기간 '청소년 성범죄 예방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내년 신학기부터 집중적으로 예방 교육도 실시한다. 예방교육 자료는 동성 간 성추행, 사이버 성희롱, 딥페이크 등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피해 및 검거 사례 위주로 제작될 예정이다. 급증하고 있는 청소년 도박·마약 문제에 대해서도 전문기관(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등) 연계를 통한 치유와 상담을 집중적으로 진행한다.
지금 뜨는 뉴스
조지호 서울경찰청장은 "IT 기술 발전 등으로 인해 변화하는 범죄 양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범죄 현황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이에 대응한 맞춤형 전략 수립이 꼭 필요하다"며 "특히 환경 변화에 민감한 청소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교육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다양한 예방 활동을 전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