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9일 약 2만주 집중 매입
금액 규모는 20억2744만원
'책임 경영' 의지 해석 가운데
HBM 관련 호재 기대감도 고조
미국에서 반도체 사업의 활로를 모색한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 등 삼성전자 임직원 일동이 이달 중순께 자사의 주식을 집중적으로 사들인 것으로 확인돼, 그 배경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1~19일 삼성전자 임직원 13명이 자사의 주식 2만6430주를 총 20억2744만원에 매입했다. 특히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 임원들이 매입한 주식이 절반을 넘었다.
전 부회장은 13일 5000주(주당 7만5200원)를 3억7600만원에 매입했다. 같은 날 남석우 삼성전자 DS부문 제조&기술담당 사장도 주당 7만5200원에 1200주를 사들이고 17일 800주를 7만8800원에 추가 매입했다. 매입금액은 총 1억5328만원에 이른다. 그 전날에는 이정배 메모리사업부 사장이 주당 7만5800원에 3800주(총 2억8804만원)를, 14일에는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 사장이 1000주를 주당 7만5800원에 샀다. 총 7580만원 규모다. 그보다 더 앞서선 송재혁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반도체연구소장(사장)이 11일 2300주(1억7917만원)를 샀다.
3~7일에 노태문 모바일경험(MX) 사업부장(사장) 등 임원 7명이 14억5068만원에 산 1만9490주까지 더하면, 삼성전자 임원 20명이 이달에만 약 5만주를 약 35억원에 산 것으로 계산된다. 하루에 한명이 삼성전자 주식을 1억7500만원에 산 꼴이다. 이런 흐름은 이달 말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 영향으로 삼성전자 주가는 전날 1.75% 올라 주당 8만1200원에 마감했다.
증권가와 업계에선 이런 삼성전자 임직원들의 자사주 매입을 일종의 ‘시그널’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책임 경영’의 의지를 보였다는 해석이 우선 나온다. 직접 자사주를 매입해 7만원대 박스권에 맴돌던 회사의 주가를 8만원대로 진입시켜 향후 중장기 성장과 책임 경영을 약속하는 메시지를 던졌다는 것이다. 이 해석은 18일 DX를 시작으로 부문별로 진행되고 있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전략회의와 맞물려 힘이 실리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반도체 업황 둔화에 주가가 내리막길을 걸은 2022년에 한종희 디바이스경험(DX) 부문장(부회장)과 경계현 당시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사장)을 비롯해 임원들이 자사주 총 121억원어치를 사들인 전례도 있다.
일각에선 회사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임원들이 자사주를 매입한 점을 주목해,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과 관련해 곧 희소식을 내놓을 것이란 기대가 고조된다.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파운드리 주문을 받거나 HBM과 관련해 호재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현재 인공지능(AI) 칩 선두주자 엔비디아에 HBM3E 12단 제품을 납품하기 위한 퀄테스트(품질검증)를 받고 있다. 전문가들의 전망도 기대감을 더욱 높였다. 김영권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HBM3E 12단 양산 돌입이라는 기존 가이던스는 달성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도 "삼성전자의 HBM3E가 엔비디아의 인증을 통과할 가능성이 큰데 예정된 기한은 8단 제품이 6월, 12단 제품이 3분기 이내"라고 내다봤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