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라인야후 실적 발표 코앞…주목 받는 네이버 대응 시나리오

시계아이콘01분 4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8일 라인야후 실적 발표 앞두고
네이버와 지분 관계 발언 나올까 주목
지분 일부 매각·기술 조치로 마무리 등 전망

오는 8~9일 라인야후와 소프트뱅크 실적 발표를 앞두고 네이버와의 지분 관계에 대한 발언이 나올지 주목된다. 시장에선 라인야후 지분 일부 매각부터 기술적 조치로 마무리하는 안까지 다양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


소뱅에 지분 일부 매각 가능성 ‘고개’

일본 정부가 강도 높은 압박에 나선 만큼 네이버가 일부 지분이라도 매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일본 총무성이 개인정보 유출 건으로 두 차례 행정지도를 한 것부터 이례적인데, 지분 관계 재검토까지 거론했기 때문이다. 향후 일본 사업을 고려해 지분 매각으로 몸을 낮출 것이라는 분석이다.

라인야후 실적 발표 코앞…주목 받는 네이버 대응 시나리오
AD

전량 매각보다는 일부 매각에 힘이 실린다. 네이버가 라인야후와 연결고리는 유지한 채 2대 주주로 내려오는 것이다. 라인야후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씩 출자해 세운 A홀딩스가 64.5%를 보유하고 있다.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 중 약 33%를 가진 셈이다. 지난 7일 기준 라인야후의 시가총액이 2조8800억엔(약 25조3800억원)인 것을 고려하면 네이버가 보유한 라인야후 가치는 약 8조4000억원이다.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더하면 10조원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네이버가 보유한 지분을 소프트뱅크가 전부 인수하기에는 재무적 부담이 크다"며 "일본 외에 대만, 태국 사업과 라인망가, 네이버제트 등 다양한 사업이 연결돼 있어 전체 매각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모펀드(PEF) 등 다른 투자자를 끌어들이기에는 라인야후의 덩치가 너무 크고 성장세도 둔화됐다는 설명이다.


라인야후 지분 일부만 매각하더라도 네이버 글로벌 사업 전략에 변화는 불가피하다. 라인은 일본뿐 아니라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2억명이 넘는 이용자를 보유한 글로벌 메신저다. 메신저를 중심으로 간편 결제 서비스, 배달, 웹툰 등과 연계해 동남아 시장에 주력했다. 라인에 대한 지배력을 잃으면 아시아에서 영향력을 키우려던 글로벌 전략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지난 3일 실적발표에서 일본 정부 압박과 별개로 "중장기적인 사업 전략에 따라 결정하겠다"고 밝힌 것 역시 이런 맥락이다.


다만 조 단위 현금을 확보할 경우 추가 인수합병(M&A)을 추진할 여력이 생긴다. 네이버는 2022년 10월 북미 최대 개인 간 거래(C2C) 거래 플랫폼 ‘포시마크’를 1조7000억원에 인수한 게 마지막 M&A다. 인수 1년 만인 올 1분기 기준 포시마크를 흑자 전환한 만큼 다음 스텝에 나설 수 있다.


기술 조치로 마무리할 수도

네이버가 지분을 매각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번 사태가 마무리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행정지도는 법적으로 따라야 할 강제력이 없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 역시 이 점을 인식한 듯 한발 물러서는 모습이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행정지도는 안전 관리 강화와 보안 거버넌스 재검토 등을 요구한 것"이라며 "특정 국가의 기업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위탁처 관리가 적절하게 기능하는 형태여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라인 지분을 넘겨주면 나쁜 전례를 남기게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다른 동남아 국가에서도 자국 기업을 통해 라인을 직접 운영하려 들면 일본 사례가 전례로 활용될 수 있다"며 "우리 플랫폼이 해외로 나간 첫 사례인데 그 기반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무리하게 지분 매각을 밀어붙일 경우 한일 간 외교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점도 변수다. 최승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한국 정부가 사안에 관심을 갖고 있고 강제 매각 명령은 외교적 마찰로 이어질 수 있다"며 지분 매각 가능성이 낮다고 봤다.



결국 라인야후와 시스템 분리 등 기술적 조치를 최대한 취하고 문제를 봉합하는 쪽에 무게가 실린다. 사공목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한일 관계가 나쁘지 않고 대화 창구도 열려있기 때문에 외교적 노력을 한다면 잘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