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대 자유전공 합격자, 모두 '이과생'…결국 이과에 유리한 대입 정책

시계아이콘00분 4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무전공 확대, 이과에 유리
통합수능, 수학 미적분이 고득점에 유리

지난해 서울대 자유전공 최초 합격생이 모두 이과생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올해 고3이 치를 2025학년도 대입에서 주요 대학의 무전공 확대를 추진하는 가운데, 해당 정책은 이과생들에게 더 유리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4일 종로학원은 2023학년도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최초 합격생 100%가 이과생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2학년도에도 이 비율이 94.6%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 자유전공 합격자, 모두 '이과생'…결국 이과에 유리한 대입 정책 울대 정문 [사진 출처=연합뉴스]
AD

2023학년도 기준 서울대 자유전공학부의 국어·수학·탐구 상위 70% 합격선은 98.3점이었다. 이는 서울대 문과에선 정치외교학부(98.5점)에 이어 2위로 이과에서는 의예과 지역균형(99.5점) 및 일반전형(99.3점), 치의학과(99.0점)에 이어 4위에 해당한다.


자유전공학부 합격을 이과생이 독식하는 건 2022학년도부터 시행된 문·이과 통합 수능 영향이 크다. 현 통합형 수능은 수학과 과학탐구 과목에서 표준점수가 문과생보다 높게 나오는 이과생에게 유리한 구도다. ‘미적분’이 ‘확률과 통계’보다 고득점을 형성하는데, 원점수로 각각 100점을 맞더라도 표준점수로는 결국 미적분이 높았다.


인문·자연계열을 별도로 분리해 선발한 고려대 자유전공학부의 경우 지난해 정시 합격선이 B형(인문)이 95.5점으로 통계학과(95.6점)에 이어 2위였다. A형(자연)은 95.0점으로 31개 학과 중 중위권인 15위에 해당했다.


고려대 자유전공학부는 지난해까지 수능 수학 확률과 통계 응시자는 B형으로 따로 모집했으나 2024학년도 대입에서는 자유전공학부를 통합 선발하기로 했다. 결국 문과생보다 이과생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대 자유전공 합격자, 모두 '이과생'…결국 이과에 유리한 대입 정책 교육부가 현 중2 학생부터 적용될 '2028 대입 개편안'을 발표한 27일 오후 서울의 한 대형서점에 비치된 고등수학 미적분, 확률과 통계 관련 문제집의 모습. [사진출처=연합뉴스]

진행 중인 2024학년도 대입에서 서울대 자유전공학부는 전체 모집인원의 3.6%인 118명을 선발하며 고려대 자유전공학부는 2.3%인 90명을 뽑을 예정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자유전공이 인문·자연계열 통합선발을 하고, 선발 인원에 별도 지정하지 않을 경우 결국 이과생에게 유리하고 문과생은 진학 기회가 줄어들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