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단벌레 날개로 만든 꽃잎…신라 말다래 빛내다

시계아이콘00분 5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쪽샘 44호 무덤 금동장식 분석 결과 공개
"쇠붙이 장식에 나뭇잎 장식 네 점 결합"
머리카락 감싼 직물 형태 등도 확인

비단벌레는 앞날개가 누런색 또는 엷은 녹색이다. 광택이 나 예부터 각종 장식에 사용됐다. 흔적은 신라 최상급 고분에서만 확인된다. 2020년 11월 경주 쪽샘 44호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수백 점 나온 비단벌레 금동장식이 대표적 예다. 오랜 분석과 연구 끝에 죽제(竹製) 직물 말다래의 일부로 확인됐다. 말다래는 말을 탄 사람의 다리에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아래에 늘어뜨리는 판이다.


비단벌레 날개로 만든 꽃잎…신라 말다래 빛내다 경주 쪽샘 44호분 비단벌레장식 말다래 재현품
AD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쪽샘 44호 무덤에서 나온 비단벌레 금동장식의 분석·연구 결과를 4일 공개했다. 죽제 직물 말다래는 대나무 살을 엮어 가로 80㎝, 세로 50㎝ 크기의 바탕 틀을 만든 뒤 직물을 여러 겹 덧대어 제작됐다. 위에는 비단벌레 날개로 만든 꽃잎 모양의 장식을 올렸다.


연구소 관계자는 “금동판에 비단벌레 날개 두 매를 겹쳐 올리고, 그 위에 둘레 가장자리를 장식하는 금동판을 얹어 실로 고정해 나뭇잎 모양 장식을 만들었다”며 “얇은 쇠붙이 장식에 나뭇잎 모양 장식 네 점을 결합해 꽃잎 모양을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말다래에 꽃잎 모양 쉰 개가 부착돼 있다”며 “찬란했던 신라 공예 기술의 진면목을 엿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쪽샘 44호 무덤에서 나온 각종 유기물을 분석한 결과도 주목할 만하다. 2020년 금동관 주변에서 나온 폭 5㎝의 유기물 다발을 현미경으로 살폈는데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파악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머리카락을 감싼 직물의 형태를 통해 머리카락을 한데 묶은 머리모양 꾸밈새를 추정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비단벌레 날개로 만든 꽃잎…신라 말다래 빛내다 금동관 주변 출토 머리카락

금동관에서는 세 가지 색의 실을 사용한 직물인 삼색경금(三色經錦)도 확인됐다. 삼국시대 직물로는 실물이 처음 확인돼 앞으로 중요한 연구 자료로 쓰일 전망이다.



한편 문화재청과 연구소는 이날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연구·조사 성과를 정리하는 행사를 한다. 아울러 12일까지 쪽샘유적발굴관에서 보존처리를 마친 유물을 출토 당시 모습으로 재현해 공개한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