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지원 "김정일도 주한미군 주둔 원해…'미군철수'는 국내정치용"

시계아이콘01분 4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폼페이오 전 미국 국무부 장관이 자신의 자서전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주한미군의 한반도 주둔을 원하고 있다'고 밝힌 것과 관련, 김대중 정부에서 '대북특사'를 맡았던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역시 같은 생각'이라고 밝혔다.


박 전 국정원장은 26일 SBS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김정은은 중국을 굉장히 불신하고 주한미군의 한반도 주둔을 원하고 있다, 이 말은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김대중 대통령한테 하신 말씀"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지원 "김정일도 주한미군 주둔 원해…'미군철수'는 국내정치용"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그는 "똑같다. 당시 제가 옆에서 들었다. 김정일 위원장이 '동북아시아의 세력균형을 위해서는 한반도 통일이 되더라도 주한미군이 한반도에 주둔해야 됩니다'라고 하면서 중국과 러시아, 일본을 굉장히 불신했다"며 "특히 중국에 대한 불신이 굉장히 높다"고 했다.


박 전 국정원장은 "김대중 대통령이 '그러면 왜 그렇게 입에 미군 철수를 달고 삽니까?' 그랬더니 김 위원장이 씩 웃으면서 '국내 정치용입니다'라고 얘기를 하더라"고 덧붙였다. 북한의 '중국 불신'은 오래된 것이라는 설명이다.


박 전 국정원장은 "이게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에 6.15 정상회담 후 두 달 있다가 제가 8.15 때 언론사 사장, 올라갈 때 (김대중) 대통령께서 '다시 한번 물어봐라, 이건 굉장히 중요한 거다'라고 해서 제가 김정일 위원장한테 물어봤다. '미군의 한반도 주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냐', 똑같은 얘기를 하더라"고 했다.


이는 '유훈 정치'가 이어져 내려오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박 전 국정원장의 설명이다. 그는 "김일성 주석이 내려준 유훈을 김정일도, 김정은도 이행하고 있다. 김정일이 (했던) 아주 인상적인 얘기는 '김일성 주석이 두 가지 유훈을 줬는데 첫째도 둘째도 미국이다. 미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해서 체제보장을 받아라. 두 번째도 미국의 경제제재 해제를 통해서 경제발전을 해라' (였다)"며 "이런 것을 보면 아직도 김 총비서의 모든 정책이 김일성·김정일로부터 받은 유훈을 집행하고 있다 저는 그렇게 보고 있다"고 했다.


중국을 불신하고 미국을 신뢰하는 이유는 중국의 '영토 야욕' 때문이다. 박 전 국정원장은 "김정일이 그런 얘기를 했다. '중국, 러시아, 일본은 우리 이웃국가로서 우리나라 국토를 병탄해서 항상 우리 한국을 가져가려고 했다. 그렇지만 미국은 지리적으로 그렇지만 역사적으로 남의 나라를 침범해서 영토를 가지려고 한 그런 역사가 없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는 반드시 미군 주둔이 필요하다'고 했다"며 "중국, 러시아, 일본을 불신하고, 이 3국은 항상 우리 한반도 영토를 호시탐탐 병탄하려고 기회를 보고 있다는 그런 불신감을 강하게 드러냈다"고 전했다.


박 전 국정원장은 폼페이오 전 장관이 낸 책의 내용이 '상당히 정확하다'며 과거 그와 대화를 나눴던 일화도 소개했다. 그는 "제가 폼페이오 장관을 국정원장 때 만났다. 만나서 '폼페이오 당신이 김정은을 제일 오랫동안 서방세계에서 만나서 얘기해 봤고, 내가 김정일을 가장 오랫동안 얘기해 본 사람인데 그 부자 간의 성격을 한번 비교해 보자'라고 해서 토론을 해 보니까 똑같더라"고 했다.


또 폼페이오의 자서전에는 2019년 북미정상회담에서 김 총비서가 문재인 당시 대통령의 참석을 원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했다는 말도 담겼다. 박 전 위원장은 "항상 북한이 그러한 태도를 가지고 있다"며 "북한의 핵 문제는 남북 문제도 아니고 북중 간의 문제도 아닌 북미 간의 문제기 때문에 북한은 미국과 직거래를 하려고 하지 한국을 통하려고 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을 성사시킨 게 누군가, 문재인 대통령 아닌가"라며 "(북한의 태도는) 지금도 그렇고 과거에도 그랬다"고 강조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