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셔먼 부장관 "북한 코로나 지원, 비핵화 진전 별개의 문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3일 북한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인도적 위기와 비핵화 진전에 대해 “우리는 이 두 가지를 연계하지 않으며 앞으로도 연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셔먼 부장관 "북한 코로나 지원, 비핵화 진전 별개의 문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셔먼 부장관은 이날 오전 아산정책연구원과 주한미국대사관이 개최한 한미수교 140주년 기념 심포지엄 영상 기조발언을 통해 “별개의 문제로 본다”며“다만, 우리는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코로나19 백신 제공을 계속해서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내 심각한 코로나19 발생이 북한 주민의 건강과 안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중대하게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북한에 코로나19 백신 지원을 제의했으며 중국을 통한 지원 방안도 제안했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지난달 방한 당시 밝힌 바 있다.


셔먼 부장관의 발언은 대북 지원은 비핵화 진전 여부와 관계없이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는 북한의 최근 잇단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 “인도태평양 지역 및 전체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를 위협한다”며 “미국과 한국은 대북 접근에서 완전히 일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평화롭고 외교적인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으리라고 지속해서 믿고 있다. 미국은 북한에 적대적 의도를 갖고 있지 않으며 대화로의 길은 여전히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북한이 그 길을 선택해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에 전념하고, 불안정을 일으키는 추가적 행위를 자제하기를 촉구한다”고 경고했다.


셔먼 부장관은 민주주의와 투명성, 인권 등 한미관계가 기반을 두고 있는 공동의 가치를 언급했다. 그는 “오늘날 이 중 많은 가치는, 규범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저해하고 변형시키려는 권위주의적 지도자들의 도전을 받고 있다”고 했다.


이는 중국과 러시아 등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셔먼 부장관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대만해협을 직접 했다.


그는 “비록 키이우는 서울로부터 수천 마일 떨어져 있지만, 규범에 기반한 국제질서가 어디선가 위협을 받는다면 모든 곳에서 저해될 위험이 있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또 “한미는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우리 각자의 접근법을 일치시키고 공동의 비전을 고취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며 “여기엔 적법한 무역에 장벽을 놓는 것을 막고, 항행 및 상공비행의 자유에 대한 국제법을 존중하며, 대만해협을 비롯한 모든 곳에서 평화와 안정을 보호하는 것 등의 기본적 원칙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크리스토퍼 델 코르소 주한미국 대사대리는 축사에서 “오늘날 우리는 중국, 러시아, 북한 등 권위주의적 국가들이 제기하는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했다”고 국가명을 직접 거론했다.



그는 “역사적 동맹이자 생각을 같이하는 파트너로서, 한미는 권위주의 정권들의 지역 내 및 세계적 영향력을 약화할 수 있도록 민주적 가치를 촉진할 특별한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