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점오피스 '스피어' 오픈
일문화혁신으로 인재 유치
통근거리 줄이고 탄소배출량도 감축
[아시아경제 차민영 기자] "최고의 인재가 최고의 성과를 창출하는 환경 조성을 위해 일문화 혁신을 지속하겠다."(유영상 SK텔레콤 대표)
SK텔레콤이 'SKT 2.0 시대'를 맞아 일문화 혁신 일환으로 거점오피스 3곳을 서울 신도림, 경기도 일산·분당에 마련했다고 7일 밝혔다. 5G·인공지능(AI)·양자암호 기술 등을 총동원한 미래형 오피스로, 불필요한 출퇴근 시간을 줄여 구성원 행복도를 높이는 데 주안점을 뒀다.
거점형 업무공간 브랜드 '스피어(Sphere)'는 구(球)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기존의 사무실이 갖는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경계없이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업무 공간을 지향한다.
서울 신도림 디큐브시티에 위치한 스피어 신도림은 2개 층에 170개 좌석을 보유한 도심형 거점 오피스다. 몰입이 필요한 업무부터 협업 공간까지 다양하게 확보했다. 경기도 일산 동구에 위치한 스피어 일산은 주택단지 내 단독 건물을 개조해 만들었다. 경기도 분당구에 위치한 스피어 분당은 기존 SK텔레콤 사옥에 ICT 인프라를 적용해 만들었다.
마스크 착용 얼굴 인식 ID 적용
거점오피스로 출근하는 구성원은 별도 출입카드가 필요하지 않다. 구성원들의 얼굴이 출입카드 역할을 한다. 인공지능(AI) 기반 얼굴 인식 기술이 구성원의 얼굴을 단 0.2초 만에 판별해 출입문을 열어준다.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식별 가능하며 얼굴 위변조 공격 방지 기능을 적용해 외부인의 무단 출입을 막는다.
좌석 예약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SK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스피어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좌석 현황과 본인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를 고려해 자기주도적으로 업무 공간을 예약하고 이용할 수 있다. 사전 예약을 하지 않은 경우에도 직접 방문해 얼굴 인식을 하면 원하는 좌석을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다.
개인 몰입형 업무를 수행할 때는 좌석간 거리를 넓혀 몰입도를 높인 ‘아일랜드’ 좌석을 이용하면 되고 협업이 필요한 경우 여러 명이 함께 앉아 근무할 수 있는 ‘빅테이블’ 좌석을 예약해 업무를 수행하면 된다.
스피어에는 ‘아이데스크(iDesk)’가 있기 때문에 개인 PC도 가져갈 필요가 없다. 자리에 비치된 태블릿에 얼굴을 인식하면 가상 데스크톱 환경(VDI)과 연동돼 본인이 평소에 사용하는 PC와 동일한 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자리에 비치된 태블릿을 통해 비대면 회의에도 참여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책상에 비치된 태블릿에 얼굴을 인식하면 책상을 개인에 맞춰 자동 조절해주고 수행 업무 종류에 따라 조도를 변경해주는 기능도 준비 중이다.
협업 생산성도 높인다. 회의실에는 비대면 회의에 필요한 카메라와 스피커가 준비돼있다. 카메라는 회의실에 입장한 사람의 수를 인식해 사람이 많은 경우 광각으로 촬영해 여러 사람을 동시에 화면에 보여주고 말을 하는 사람을 인식해 발표자를 화면에 띄워주기도 한다.
비대면 회의가 늘어나는 업무 트렌드에 맞춰 독립된 1인용 회의 공간 ‘스피어팟(Spherepod)’도 마련했다. HMD '오큘러스 퀘스트'를 비치해 가상공간에서의 소통도 가능하다. 올 하반기에는 자사의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 HMD 버전을 활용한 가상공간에서의 미팅도 이뤄질 예정이다. 각 스피어에는 대형 미디어 월과 카메라를 설치한 ‘스피어 비전’을 구축해 거점간 소통이 가능하도록 했다.
스피어는 5G, 사물인터넷(IoT), 양자암호통신 등 ICT 기술을 기반으로 구성원들의 편의와 안전을 확보했다. 스피어에는 초고속, 초저지연이 특징인 5G 인빌딩 솔루션이 적용됐다. 국내 최초로 VPN(개별 기업이 회사 내부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독립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결합했다. IoT 센서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등 업무 환경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AI 기술이 최적의 업무 환경을 유지한다.
4300명 수도권 직원 실수요 반영
이번 거점 오피스 스피어는 구성원 실수요를 반영해 마련됐다. 수도권에 근무하는 약 4300명의 거주지, 수요, 업무 특성을 고려해 선정, 설계됐다. 자체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에 근무 임직원의 하루 출퇴근 시간은 총 3969시간으로 일자로 환산하면 165.4일에 달한다. 출퇴근 거리는 11만8737km에 달한다.
거점오피스는 근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직원 스스로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간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WFA(Work From Anywhere)' 제도를 활성화한다는 의미도 있다. 유연한 일문화는 점점 치열해지는 ICT 업계 내 인재 유치 경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SK텔레콤 측 설명이다.
스피어는 회사가 추구하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기조도 담았다. 대기오염, 교통체증 등 출퇴근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스피어는 폐의류를 업사이클링한 소재를 활용해 가구나 벽체를 만들고 지능형 카메라가 사람이 없는 공간의 조명을 소등하는 등 친환경적인 요소를 부여했다. 스피어 신도림, 분당은 미국 그린빌딩위원회(USGBC)의 국제적 친환경 건축 인증제도 LEED 골드 등급 획득 절차를 진행 중이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SK텔레콤은 7월 중 서울시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 ‘워케이션(일과 휴가의 합성어)’ 콘셉트의 스피어 오픈도 준비 중이다. 워커힐 스피어는 SK텔레콤 임직원을 포함해 SK ICT 패밀리 구성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할 예정이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