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0선' 출신 대통령 당선인의 걸어온 길
"사람에게 충성 않는다" 작심발언 회자
"덩치와 다르게 마음 따뜻한 인물" 주변 평가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제20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윤석열 당선인은 국회의원 '0선'의 정치신인이라는 점만으로도 우리 정치사에서 전무후무한 주인공이 됐다. 지난해 6월 정치 참여를 선언한 이후 역대 대통령 어느 누구보다 빠른 기간 내에 대선 고지를 점령했다. 특히 여당이 된 국민의힘은 '0선' 당대표에 이어 '0선' 대통령까지 배출하는 초유의 기록을 세우게 됐다.
◆잔뼈 굵은 특수부 검사=1960년 서울 출생인 윤 후보는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와 최정자 전 이화여대 교수 슬하의 1남1녀중 장남으로 비교적 유복한 유년시절을 보냈다.
서울 충암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윤 후보는 잔뼈 굵은 ‘특수부 검사’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아왔다. 윤 후보는 9수 끝에 1991년 만 31세의 나이로 사법시험에 합격해 검사 생활을 시작했다. 검찰 생활 내내 ‘특수부 검사’ 생활을 한 그는 노무현 정부 당시 안희정 전 충남도지사와 강금원 창신섬유 대표 등 고위 인사들을 구속 수사했다.
2002년 검사 옷을 벗고 대형 로펌에서 변호사로 일했고, 1년 만에 "검찰청 짜장면 냄새가 그립다"며 친정으로 복귀한 뒤부터 승승장구하기 시작했다.
윤 후보는 2013년 박근혜 정부 당시 국정원 사건 수사 과정에서 "저는 사람에 충성하지 않는다"고 내지른 국정감사장의 작심 발언은 두고두고 회자됐다.
이후 ‘상부보고 누락’을 이유로 대구고검으로 발령이 나면서 사실상 ‘좌천’을 당한다. 하지만 '강골검사' 이미지를 새겼고 3년 뒤인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특검 수사팀에 합류하면서 다시 주목받기 시작한다. 이어 문재인 정부 출범과 동시에 서울중앙지검장으로 기용됐고 이명박 전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에 대한 구속 수사를 통해 이름을 알렸다.
그러나 윤 후보는 조국 전 법무부장관 수사를 맡으며 현 정부여당과 대척점에 서게 된다. 특수부 검사 시절 청와대의 ‘유재수 감찰 무마 의혹’과 ‘울산시장 하명수사 의혹’ 등 문 정권의 핵심부를 겨냥한 수사를 감행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9년 당시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반대 속에서 윤 후보를 검찰총장에 임명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문제로 현 정권과 각을 세우게 된 그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의 갈등 속에서 검찰총장직에 물러났다. 윤 후보는 지난 3월 사직과 함께 정치입문 가능성을 남겼다. 그는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힘을 다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같은 해 6월 그는 사실상 대권도전을 선언했다. ‘공정과 상식’을 정체성으로 내세운 윤 후보는 이후 국민의힘에 입당했다. 공정과 정의라는 현 정부의 내로남불의 대척점이라는 점에서 그의 정치입문은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이후 경선 기간 내내 야권 후보 지지율 1위 자리를 유지하며 국민적 관심을 받아왔지만, 잇단 실언과 캠프 내 논란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지난해 11월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후에도 우여곡절이 많았다. 소위 '윤핵관(윤석열측 핵심관계자)' 논란에 휩싸인데 이어 선대본 내부에서 이준석 대표와 조수진 당시 공보단장간 충돌, 급기야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 사퇴까지 이어지는 동안 윤 후보의 리더십은 위기를 맞았다. 지난 1월 초 강력한 경쟁상대였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는 오차 범위 밖으로 벗어나기도 했다.
이후 선대본 규모를 축소하고 전열을 가다듬은 이후 본격적인 대선레이스에 나섰다. 특히 SNS에 '여성가족부 폐지'라는 다섯글자 공약을 올리면서 20대 남성들의 지지를 이끌어냈고, 이는 분위기 반전의 계기가 됐다.
초박빙 지지율이 이어지는 살얼음판 유세에서 그는 후보 단일화를 관철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제안한 경선 방식의 단일화 요구를 거절하고 담판방식으로 이를 성사한 것이다.
◆자유주의 경제에도 관심…한은 입행 꿈꾸기도=윤 당선인은 윤 명예교수는 공주 농고와 연세대 경제학과, 일본 히토쓰바시대학 대학원을 졸업한 뒤 1997년까지 모교인 연세대 응용통계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교수 시절 통계학회·한국경제학회 회장을 맡기도 했다.
윤 당선인은 평생을 법조인으로 살았지만, 정치 입문 이래 줄곧 자유주의 경제를 강조해왔다. 서울대 법대 입학 기념으로 부친 윤 명예교수가 선물한 책이 미국 내 대표적 신(新) 자유주의 학파 경제학자인 밀턴 프리드먼이 쓴 '선택할 자유'였다는 일화도 잘 알려져 있다. 사법고시에서 연거푸 실패하자 한국은행 입행을 고민하기도 했다. 경제학에 관심이 많은 건 부친 영향 때문으로 전해졌다.
그를 잘 아는 주변사람들은 덩치와 다르게 마음이 따뜻한 사람이라고 평가한다. 서울대 법대 동기로 절친으로 알려진 허창언 전 금융보안원장은 윤 후보에 대해 "덩치가 크고 성격이 활달했다"며 "보기와 달리 어려운 친구들에게 도움을 줄 정도로 따뜻한 사람"이라고 기억했다.
윤 후보는 52세에 12살 연하인 김건희 씨와 결혼했다. '애처가'라고 불리기를 마다치 않는다. 슬하에 자녀는 없으며, 반려견 4마리와 반려묘 3마리를 키우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한 자리에서 맥주 3만cc를 마신다'고 할 정도로 주량이 세고,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스테인리스 팬으로 달걀말이를 타지 않게 부쳐냈을 만큼 요리를 즐겨 한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