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패스는 유지…11종 시설 이용 시 접종 이력 확인
백신 접종 확인 목적의 QR코드는 계속 운영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19일부터 역학조사 방식 변경에 따라 다중이용 입장 시 사용했던 'QR코드'와 안심콜, 수기명부 등 출입명부 운영이 잠정 중단된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역학조사와 접촉자 추적관리가 고위험군 중심으로 변경돼 광범위한 접촉자 조사를 위한 출입명부 관리는 효과성이 다소 떨어지고 있다"며 "출입명부 의무화 조치는 잠정적으로 중단한다"고 18일 밝혔다.
그간 다중이용시설 출입 시에는 QR코드, 안심콜, 수기명부 등 크게 3가지 방식으로 방문자 명부를 기록했다. 이름과 전화번호 등을 남겨 시설에 확진자가 다녀갔거나 집단감염이 발생했을 시 방문자를 추적하는 데 사용돼 왔다.
이날 방역당국의 발표는 이러한 '시설 이용자·접촉자 추적'을 당분간 중단하겠다는 의미다. 즉, 모든 시설을 이용할 때 별도의 출입명부 작성이 필요하지 않게 된 것이다. 대표적으로 관공서나 상점, 마트, 백화점, 학원, 독서실·스터디카페 등을 출입할 때 QR코드를 체크하거나 안심콜 전화를 하지 않고 출입할 수 있다.
헷갈리지 말아야 할 부분은 출입명부만 작성하지 않을 뿐이지 현재 다중이용시설 11종에 적용되는 방역패스는 그대로 유지된다는 점이다. 현재 백신 접종을 하거나 음성임이 확인돼야만 이용할 수 있는 유흥시설, 노래연습장, 목욕장업, 실내체육시설, 경륜·경정·경마장, 식당·카페, PC방, 멀티방, 마사지업소, 파티룸, 실내스포츠경기장 등을 이용할 때는 백신 접종 이력 또는 음성 확인을 증빙해야 한다.
지금 뜨는 뉴스
그간 QR코드는 출입명부뿐 아니라 백신 접종 이력을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됐다. 이에 방역패스 적용 시설에는 기존 QR코드 인식기를 사용해 백신 접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종전과 차이는 접종 이력만 확인할 뿐, 개인의 출입명부 기록을 수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대부분의 자영업·소상공인들의 의견들은 QR코드를 통해 접종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더 간편하다는 입장"이라며 "QR 서비스 자체는 계속 제공해드린다"고 설명했다. 그간 시설 출입에는 사용할 수 없었던 쿠브(COOV·전자예방접종증명서)앱에서 접종력만 확인한 경우에도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한 점도 같은 맥락이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