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LG전자가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원격진료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이 원격진료 솔루션은 다자간 화상회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입원·외래 환자를 위한 원격진료와 대규모 학회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병력, 입·퇴원 기록 등 환자 정보를 기록한 전자의무기록(EMR)이나 병원정보시스템(HIS)과 같이 개별 병원이 자체 구축하고 있는 병원 시스템과도 연동되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여서 장소 제약 없이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다.
LG전자는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 이지케어텍㈜과의 기술 협업으로 원격진료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지케어텍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방위부병원(MNGHA) 산하 70여 개 클리닉에 이 솔루션을 공급하는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국내서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중환자실 모니터링, 비대면 협진에 이 솔루션을 활용한다.
LG전자는 비대면 의료 수요 증가와 원격의료 시장 확대에 따라 병원 관련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코로나19로 비대면 의료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전 세계 원격의료 시장 규모는 2019년 612억달러에서 2027년 5595억달러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는 상업용 TV 등 기존에 해왔던 디스플레이 사업과 함께 소프트웨어까지 더한 통합 솔루션 공급 역량을 앞세워 병원 TV 시장을 공략하려 하고 있다. LG전자는 65, 55, 49, 43, 32, 24형 등 병원 내에 설치할 수 있는 여러 크기의 병원 TV 라인업을 운영하고 있다. 15.6형 화면에 터치가 가능한 입원실 병상용 개인 TV도 출시한 바 있다.
병원 TV는 독자 소프트웨어 플랫폼 웹OS를 기반으로 병원 소개, 시설 안내, 원격 도움요청 등 병원과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에게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병원 운영자는 해당 병원만의 맞춤형 홈 화면을 만들 수도 있어 자체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중소형 병원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TV를 한 번에 제어할 수 있어 유지·관리도 편리하다.
지금 뜨는 뉴스
LG전자 ID사업부장 백기문 전무는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설치 공간과 목적에 최적화한 통합 솔루션 공급 역량을 앞세워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을 지속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