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여명 사망…60년 만에 최악
재난 경보 체계 부실해 피해 키웠다는 비판 나와
[아시아경제 김수환 기자] 독일에서 60년 만에 최악의 홍수 재난이 발생하면서 사망자가 속출하자 각계각층에서 재난문자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독일 당국 관계자들이 재난문자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신에 따르면 일부 장관들과 고위 당국자들이 이번 홍수 재난 당시에 재난 예방 시스템이 충분히 갖춰지지 않아 수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현재 독일에서는 재난문자 시스템 대신 정부가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푸시 알림을 보내는 방식으로 재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알림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망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천재지변 시 통신망 장애가 발생하면 알림을 못 받을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번 홍수에서도 통신망이 일부 파괴되면서 재난 알림을 받지 못한 주민들이 많았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우리나라와 달리 독일에서 재난문자 서비스가 없는 이유에는 과거 나치 정권 시절, 정부가 시민들을 대상으로 자행한 불법 사찰에 대한 후유증이 남아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찰을 원천 차단하고자 시민들의 개인정보 수집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각종 제도가 마련됐고 이에 정부 당국이 시민들의 전화번호 등 관련 데이터를 보유하지 못하게 됐다.
결국, 이러한 제도가 유사시 시민들에게 긴급 재난문자를 보내지 못하게 하는 장애물로 작용하게 됐고 이번 홍수에서 큰 인명 피해로 이어지게 됐다는 분석이다.
독일에서만 최소 17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이번 홍수 재난과 관련해 독일의 재난 예방 체계가 부실하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전문가들은 재난 경보 체계의 부실과 대피 작전의 지연이 피해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지금 뜨는 뉴스
독일 교통부 장관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홍수는 우리 모두에게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됐다"며 "개인정보 보호도 중요하지만 시민들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수환 기자 ksh205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