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핵실험에 따른 방사능 유출 가능성…자연적 요인도 배제 못해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북한이 3일 6차 핵실험을 감행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과 가까운 중국 국경지역에서 방사능 수치가 올라가 방사능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홍콩에서 발간되는 영자 신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6일(현지시간)자에 따르면 중국 환경부의 측정 결과 북한 핵실험장과 가장 가까운 중국 지린(吉林)성 창바이(長白)조선족자치현의 방사능 수치는 3일 핵실험 전 시간당 평균 104.9nGy(nanograyㆍ나노그레이ㆍ인체조직에 흡수된 방사선량 측정 표준 단위)였으나 5일 108.5nGy로 상승했다.
6일 오전에는 시간당 평균 110.7nGy로 올라섰으나 한때 최고 112.5nGy까지 치솟기도 했다. 인근 옌벤(延邊)조선족자치주 백두산 기슭의 안투(安圖)현 방사능 측정소에서도 비슷한 수치 상승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창바이조선족자치현은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서쪽으로 약 80㎞ 떨어져 있다. 현재 북중 접경 중국 동북 3성(省)에는 중국인 1억명이 거주하고 있다. 3성 모두 풍계리로부터 80㎞ 안에 자리잡고 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핵실험 당시 2차 지진파가 측정됐다며 이는 지하시설 붕괴에 따른 것으로 방사능 물질 유출 가능성을 제기했다.
중국 난징(南京)대학 국제관계연구원의 주펑(朱鋒) 원장은 "방사성 물질 일부 유출로 중국 동북부 지역을 위협하는 사태가 발생한다면 중국의 입장이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에서 북한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높아져 대북 정책이 강경 선회할 수 있다는 뜻이다.
중국 환경부는 북한의 핵실험 직후인 3일 오전 11시 46분부터 북중 접경지역 방사능 환경 긴급대응계획을 가동해 동북과 주변 지역에서 시간당 방사선량 측정에 나서고 있다.
2013년까지 방사능 측정소 25개를 운영했던 중국은 현재 38개로 늘렸다. 이 가운데 13개가 북중 접경 지역에 자리잡았다.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조치다.
그러나 북중 접경지역의 방사능 수치 상승이 자연적인 영향 때문일 수 있으니 섣부른 예단은 금물이라는 지적도 있다. 정상 상황에서도 바람ㆍ비ㆍ우주선(宇宙線) 등의 영향으로 방사선량이 20nGy 범위 안에서 오르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선이란 우주에서 끊임없이 지구로 내려오는 매우 높은 에너지의 입자선을 말한다.
이진수 기자 comm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