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서처럼 일하라’, 애플 ‘시리’ 등 지능형 가상비서 특허출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사람과 대화하고 응대하는 지능형 가상비서의 등장에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됐다.


특히 최근 출시된 삼성 갤럭시 S8은 지능형 가상 비서 ‘빅스비(Bixby)’를 탑재, 애플 아이폰 ‘시리(Siri)’와의 맞불 경쟁을 예고하며 관련 기술의 특허출원 증가에 불씨를 지핀다. 지능형 가상비서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개인 비서 역할을 수행하는 기술을 말한다.

21일 특허청은 지능형 가상비서의 쓰임이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하는 주문·예약·검색 등에서 각종 스마트 가전기기와 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넓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전망의 근거는 지난 2013년 11건에 불과했던 지능형 가상비서 관련 특허출원이 이듬해 36건으로 증가한 데 이어 지난해는 61건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데서 찾아볼 수 있다.

관련 기술의 분야별 특허출원 동향에서 지능형 가상비서 관련 서비스 분야가 전체 누적출원 중 60.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서비스 분야의 출원건수는 지난 2013년 2건에서 2016년 59건으로 30배에 근접한 증가율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지능형 가상비서가 사물인터넷(IoT)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가전기기, 조명, 전기 콘센트 등을 원격 제어하거나 스마트 와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활동 패턴에 따라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주변사물과 연동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덕분으로 풀이된다.



출원인별 동향에서 지능형 가상비서 관련 특허출원은 국내 기업이 전체의 49.7%를 차지하고 해외기업 25.2%, 대학 및 연구소 12.8%, 개인 12.3% 등의 순을 기록했다.


특히 연도별 국내 기업의 출원비율은 2014년 36.1%에서 2015년 49%, 2016년 65.6%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지능형 가상비서 시장의 성장에 따라 국내 기업이 참여하는 관련 기술에 관한 연구 및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특허청은 이 같은 추세에 부응해 지능형 가상비서가 포함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심도 있는 심사를 위해 특허제도개선협의회 및 변리사 등의 의견을 수렴, 올해 말까지 ‘4차 산업혁명 대비 특실심사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허청 이동환 이동통신심사과장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 지능형 가상비서만으로 주변 기기와 환경을 제어하는 이른바 ‘제로터치(zero-touch)’ 시대가 곧 다가올 것으로 예측된다”며 “이러한 변화의 바람 속에서 국내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의료·금융·전자결제 등 타 산업분야 기업과 협업해 차별화된 가상비서 서비스를 개발하고 관련 특허권을 확보하는 게 무엇보다 시급한 전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