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여당체제로 당직 재편하는 민주당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여당체제로 당직 재편하는 민주당
AD


[아시아경제 부애리 기자, 정준영 기자]10여년 만에 더불어민주당이 집권당이 되면서 여권 내 새로운 권력지도가 그려질 전망이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가 전면 물갈이급 정무직 당직자 개편을 발표한 데 이어, 당·청 관계를 결정지을 두 가지 중요한 행사가 잇따라 열릴 예정이다.

민주당은 15일 정무직 당직자 인사개편안을 발표했다. 사무총장엔 이춘석 의원, 정책위의장에는 김태년 의원이 발탁됐다. 한 때 당내에서는 안규백 전 사무총장의 후임으로 거론됐던 김민석 전 의원은 싱크탱크 역할의 민주연구원장을 맡게 됐다.


당직인선의 가장 큰 특징은 당내 정책과 관련된 주요 보직에 선거과정에서 문 대통령과 손발을 맞췄던 인사들이 대거 포진했다는 점이다. 문 대통령 후보시절 특보단장과 비서실장을 맡았던 이 의원이 당의 살림을 총괄하게 됐다. 김 의원의 경우에는 발탁 배경에 지난해 예결위 간사 경력이 언급될 정도로 예산 심의 집행 등에서 주도적 역할을 맡기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선거캠프에서 공약 등을 주도했던 홍익표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대대적인 당직 개편 과정에서도 유임됐다.

인사 개편과 관련해 추 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을 지원하는 집권당으로 거듭나는 첫 단계"라며 "청와대 인선이 마무리되는 대로 당·정·청 관계 구축을 위한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후 민주당은 중앙위원회를 열고 당헌 개정안을 최종 의결한다. 추 대표가 중앙위 개최를 서두른 것으로 알려졌다. 추 대표와 친문계 사이에서는 당·청 관계 정립에 주도권을 잡으려는 미묘한 신경전도 벌어졌다.


당초 민주당은 인사추천위라는 별도의 기구를 설치할 예정이었지만 전격 취소하고 관련 조항을 당헌 개정안에서 삭제하기로 했다. "대통령의 인사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일부 친문 의원들의 반대에 부딪치면서다. 다만 올해 3월 당헌에 포함된 '국정 운영에 필요한 인사를 추천할 수 있다'는 내용을 유지하기로 해 당·청 갈등의 여지가 남게 됐다. 또 인사 추천 범위나 방식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아 청와대와 엇박자를 낼 우려도 있다.


16일에는 새 원내대표 경선이 실시된다. 당초 우상호 원내대표의 임기는 5월 말까지였지만 당의 안정을 위해 일정을 앞당겼다. 원내대표 경선에서는 홍영표 의원과 우원식 의원이 맞붙는다. 친문 핵심으로 꼽히는 홍 의원과 김근태계의 우 의원이 맞붙는 만큼 세(勢) 대결의 결과가 주목된다. 차기 원내 사령탑은 청와대와 함께 집권 초 국정 동력을 불어넣고, 개혁입법을 주도해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리다. 홍 의원은 '당·청 소통'능력을, 우 의원은 '여야 협치'를 내세우고 있다. 둘 중 누가 사령탑이 되느냐에 따라 당·청간 위상은 물론 대야(對野)관계 설정의 방향과 폭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부애리 기자 aeri345@asiae.co.kr
정준영 기자 labr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