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건강을 읽다]밖엔 미세먼지, 안엔 곰팡이…"어찌하오리까"

시계아이콘01분 35초 소요

실외보다 실내 공기 오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 더 많아

[건강을 읽다]밖엔 미세먼지, 안엔 곰팡이…"어찌하오리까" [사진=아시아경제DB]
AD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미세먼지가 공습하면서 바깥 외출을 꺼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창문을 닫고 가능한 바깥공기와 차단합니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은 밖의 공기보다 실내가 더 안전하다고 생각해 창문을 닫고 외출을 삼가는 경우가 잦습니다.

문제는 실내공기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오히려 안에 있는 것이 건강에 더 위험할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미국환경보호청(EPA)은 실내공기 오염의 심각성과 인체위해성에 대한 사람들의 무관심을 경고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공기오염 때문에 발생하는 사망자 수를 발표했는데 실외 공기 오염으로 사망한 사람은 연간 약 370만 명, 실내 공기 오염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는 430만 명에 달했습니다.


또 실내 오염물질이 실외 오염물질보다 폐에 전달될 확률은 약 1000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적절한 실내 환기를 하지 않을 경우 실외 대비 실내공기 오염이 최대 100배까지 증가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 국립환경과학원이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단독과 다세대 주택을 대상으로 아토피, 천식 유발 물질로 알려진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 등을 조사한 결과 공기 중의 세균과 곰팡이의 평균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전문가들은 미세먼지가 심각한 요즘 호흡기면역체계가 약한 영유아와 노약자, 임산부,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암환자 등의 경우 실외에서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의 공기 질 관리와 환기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김재열 중앙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미세먼지 농도가 심각한 요즘 외출을 삼가고 창문을 닫고 지내면 안전하다고 생각하기 쉽다"며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비롯해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할 때 생기는 화학오염물질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쌓여 오히려 실외보다 실내에서 심각한 호흡기질환에 걸릴 위험이 더 높을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최근 실내공기오염의 주요 원인물질로는 주방에서 굽는 요리 후 발생하는 초미세먼지가 꼽힙니다. 건축자재에 쓰이는 포름알데히드와 벤젠 같은 유해물질, 곰팡이 등도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포름알데히드를 낮은 농도로 접촉해도 피부 질환이나 기관지 점막을 자극해서 기관지염을 유발할 수 있고 발암물질이기 때문에 장시간 노출되면 폐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집이 오래됐거나 습기가 잘 차는 편이라면 집안 어디든 생길 수 있는 곰팡이에 유의해야 합니다. 실내 습도가 60% 이상인 주택에서는 그 이하인 주택보다 곰팡이가 2.7배 높습니다. 곰팡이에 민감한 사람은 코 막힘, 눈 가려움증, 호흡곤란, 피부자극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집안 청소를 자주 하고 적절한 환기가 중요합니다. 가정 내 쾌적한 공기질을 유지하려면 날씨가 좋고 미세먼지 수치가 낮은 날 대기의 순환이 잘되는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쯤 하루 3회 정도 맞바람이 치도록 5~20cm 폭으로 창문을 열고 자연 환기를 하면 좋습니다. 요리할 때 환풍기나 팬 후드를 반드시 작동시킵니다. 조리 후에 공기 중에 떠다니다 바닥에 떨어진 미세먼지는 물걸레질을 합니다.


화학물질이 다량 함유된 제품(건축자재, 가구, 가전제품)의 사용은 자제하고 실내 인테리어를 하거나 새로운 가구를 들일 때는 환기가 잘되는 여름철에 하는 것이 낫습니다. 환풍기, 공기청정기, 숯이나 고무나무 등과 같은 공기정화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와 젖은 걸레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실내먼지를 자주 닦아주는 것도 실내 공기 개선에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