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중소형 규모의 여의도 일대 아파트 단지들이 재건축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신탁 방식의 재건축도 가시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알짜부지 재건축]속도내는 여의도… "신탁으로 세금 피하자"](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17040202403190423_1.jpg)
정비업계에 따르면 여의도 한강변과 인접한 한양ㆍ공작ㆍ삼익ㆍ대교 등 4개 아파트 단지의 정밀안전진단이 이달부터 시작된다. 6월까지 검사를 모두 마칠 예정으로 그동안 동일 권역에 속한 개별 단지들이 함께 안전진단에 나선 사례는 많지 않다.
실제 한양ㆍ공작ㆍ삼익ㆍ대교 등 4개 사업지는 전체 가구수만 1898가구에 달한다. 모두 준공 40년이 넘은 곳으로 재건축 연한 조건은 갖췄지만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 등으로 재건축 사업은 지지부진했던 곳이다.
하지만 이곳 주민들은 신탁 방식의 재건축을 선택하며 사업 속도를 올리고 있다. 주민 75% 이상이 부동산 신탁사를 재건축 사업시행자로 지정하면 조합을 설립하는 대신 신탁사가 사업을 위탁받아 사업을 끌어가는 방식이다. 추진위원회와 조합 설립 절차가 생략돼 일반 정비사업장과 비교하면 2~3년의 사업 기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이 경우 초과이익환수제도 피해갈 수 있다.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란 재건축 조합이 개발사업을 통해 얻는 이익이 1인당 3000만원을 넘을 경우 초과 금액의 최고 절반을 세금으로 내는 제도다. 해당 사업지들의 경우 연말까지 관리처분인가를 받을 수 있을지 가늠하기 쉽지 않지만 지금으로서는 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꼽힌다.
다른 사업지들도 초과이익환수제를 피해가기 위해 잰걸음을 하고 있다. 지난달 안전진단에 들어간 여의도 최대 재건축 사업지인 시범아파트(1790가구), 지난주 안전진단이 끝난 서울(192가구), 진주아파트(376가구), 현재 영등포구에 안전진단을 신청해 대기 중인 3~4개 단지 등을 포함하면 이 일대에서만 10여개 단지, 5000여가구가 재건축을 준비하고 있다. 이밖에 추진위를 설립해 일반 재건축을 추진 중인 곳도 있다. 수정아파트를 포함한 시범ㆍ목화ㆍ미성ㆍ광장아파트 등 5개 단지로 현재 조합 설립에 나섰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